메뉴

마늘 1만3천t, 깐마늘로 즉시 공급

생필품 40여개 국제가격 비교 착수

정부가 마늘 1만3000여t을 깐마늘 형태로 시장에 조기에 공급하고 중국산 무를 수입하는 등 농수산물 가격안정 추가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또 생활필수품 가격을 안정시키고자 국제시세를 비교할 수 있는 40여개 품목을 선정하고 조만간 가격조사에 나서 유통구조 개선 등을 조치하기로 했다.

19일 기획재정부와 농식품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물가안정 대책회의를 열고 마늘과 무, 명태, 오징어 등 평년보다 가격이 높은 농수산물에 대한 가격안정 추가대책을 곧 시행하기로 했다.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최근 배춧값이 안정되고 있지만 다른 농수산물의 높은 가격이 유지되고 있어 긴급히 추가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며 "농수산물 물가로 서민 생활에 부담되고 물가상승 압력도 있어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마늘은 올해 수입하기로 돼 있는 시장접근물량(TRQ)의 남은 물량과 최근 증량한 물량 1만3000t을 깐마늘로 시장에 조기에 공급하고 필요하면 내년 분도 조기에 도입할 방침이다.

윤종원 국장은 "최근 마늘의 시장접근물량 증량을 발표했지만, 유통 단계의 문제로 가격이 내려가지 않아 장기간 저장이 어렵게 깐마늘 형태로 공급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깐마늘은 평년 가격이 ㎏ 당 6285원이었으나 정부의 대책 발표에도 현재 시장에서는 2배 가까운 1만200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무도 평년보다 130% 이상 높은 개당 4000원대에 거래되고 있어 중국에서 100t 정도 수입할 방침이다.

수산물로는 명태와 오징어 등 가격이 오른 품목을 중심으로 조정관세(명태 30%, 오징어 22%)를 가격이 평년 수준을 회복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철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수산물 가격의 상승은 유통구조의 문제도 있는 것으로 보고 농식품부가 유통업체의 보유물량을 점검하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18일 최근 농수산물 가격 급등과 관련해 "일부 중간상인들의 독과점이나 담합으로 산지 농민은 고생해서 싼값에 팔고 소비자들은 비싼 값에 사먹어야 하는 경우도 많다"며 "앞으로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이러한 불공정한 사례가 없도록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정부는 지난 12일 생활필수품의 가격을 조사해 국제시세에 비해 높으면 인하하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이날 관계부처 회의를 열어 비교 대상 품목 40개 안팎을 추렸다.

비교 대상에는 화장품과 세제, 샴푸, 화장지 등 공산품은 물론, 밀가루, 설탕, 쇠고기, 돼지고기 등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앞으로 협의를 통해 비교 대상 품목을 최종적으로 확정한 뒤 10개국 안팎의 대도시에 소비자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현지 가격조사단을 내보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