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약청, 추석 맞아 주방 위생관리 주의 당부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추석명절을 앞두고 추석 음식을 조리할 때 주방위생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식약청은 칼과 도마는 육류·어류용과 채소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하나의 칼·도마만 사용할 경우 채소, 육류, 어패류 순서로 조리하고 식재료가 달라질때마다 세제를 이용, 흐르는 물에 최소 10초이상 꼼꼼히 세척해야 한다.

칼·도마에서의 교차오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육류에 대장균 약 10만마리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칼과 도마를 이용해 자른 결과 칼에서는 약 1000 마리, 도마에서는 약 100마리가 교차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된 조리기구를 이용해 채소를 잘랐을 경우 약 1000 마리가 오염된 것으로 실험결과 조사됐다.

식약청이 주부 417명에 대한 칼·도마 사용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칼·도마를 육류, 어류, 채소 구분없이 사용한다는 주부가 58%로 나타날 정도로 칼·도마에 대한 위생 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식약청은 또 행주는 미생물이 많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용과 식탁용 등 가능한 한 용도별로 구분,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소독하여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국 609가구 대상 방문 면접조사 결과 54%가 행주를 싱크대와 식탁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손에 상처가 나면 처치(소독 및 붕대감기)후 조리해야 한다고 식약청은 덧붙였다.

손에 상처가 있으면 곪은 상처에 있는 식중독균이 음식물에 오염돼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상처를 깨끗이 소독한 후 고무 등의 재질로 감싸고 음식과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위생장갑을 착용, 조리해야 한다.

식약청)은 칼·도마에서의 교차오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육류에 대장균 약 10만 마리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칼과 도마를 이용해 자른 결과, 칼에서는 약 1000 마리, 도마에서는 약 100마리로의 대장균이 검출됐다고 17일 밝혔다.

식약청에 따르면 오염된 조리기구를 이용해 자른 채소도 약 1000 마리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약청이 주부 417명에 대한 칼·도마 사용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칼·도마를 육류, 어류, 채소 구분 없이 사용한다는 주부가 58%였다.

때문에 식약청은 육류, 어류, 채소 등을 동시에 많이 사용하는 추석 음식 조리시 식중독 발생 우려가 큰 만큼 올바른 칼·도마·행주 사용으로 주방 위생관리에 주의를 기울여 한다고 당부했다.

식약청은 특히 “올해 추석은 예년보다 10여일이나 빨라 음식조리 및 보관에 주의하지 않으면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칼·도마는 육류·어류용과 채소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충분히 세척하여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하나의 칼·도마만 사용할 경우에는 채소→육류→어패류의 순서로 조리하고 식재료가 달라질 경우 세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최소 10초이상 꼼꼼히 세척해야 하며 행주는 미생물이 많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용과 식탁용 등 가능한 한 용도별로 구분,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소독해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고 식약청은 덧붙였다.

<추석연휴 식중독 예방 7대 요령>

▷ 많은 양의 음식을 만들어 실온에 오랫동안 보관하지 않기= 조리한 음식은 바로 먹고 남은 음식은 즉시 냉장 보관하기

▷ 귀향(경)길에 차안에 음식물 오래 보관하지 않기= 차 안에 음식을 보관할 때는 아이스박스 등 사용하기

▷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생선 고기나 냉동식품 등을 조리할 경우 속까지 충분히 익혀 먹기

▷ 채소나 과일 등은 흐르는 물로 충분히 세척하기= 수돗물에 담궈 세척한 후 흐르는 물로 씻으면 세척효과 좋음

▷ 익힌 음식과 익히지 않은 음식은 따로 구분하기= 익히지 않은 고기, 생선류는 다른 음식과 분리 보관하여 교차 오염 방지

▷ 손은 비누로 20초 이상 깨끗하게 씻기= 식사하기 전, 조리하기 전, 외출했다 돌아온 후, 화장실 이용 후

▷ 의심이 가는 음식물은 과감하게 버리기= 실온에 오래 방치했거나 고유의 맛이나 냄새가 의심되는 음식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