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능률협 "제주 용암 해수사업 타당성 낮아"

제주의 용암 해수를 활용해 식품과 화장품, 음료 등을 만드는 사업의 타당성이 낮다는 용역결과가 나왔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은 3일 제주도개발공사에 제출한 '용암 해수 사업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 용역' 최종 보고서에서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 용암 해수 사업에 대해 대부분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고 밝혔다.

인터뷰에서 종합음료기업인 W식품은 "용암 해수나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먹는 물 사업은 앞으로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강원도의 해양심층수 업체들의 사업 중단 등을 기초로 판단하면 현재는 시기상조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 업체는 용암 해수는 미네랄 성분 말고는 다른 기능성 요소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가치가 없다는 견해를 보였다.

종합식품기업인 C기업과 화장품 원료생산기업인 E기업은 용암 해수의 기능성이 입증돼야만 사업화가 가능하다고 응답해 당장 제주의 용암 해수 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

관련 기업들은 물류비 추가 부담, 제주도의 공수 규정 등이 용암 해수 사업에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은 지하수를 '도민의 공동자산'인 공수(公水)로 규정, 개인이나 사기업이 독점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고 규정하고 있다.

한국능률협회는 보고서에서 용암 해수를 식품, 화장품, 음료, 온천, 먹는 물 등 7개 업종과 연계해 산업화하면 사업 개시연도인 2012년 49억원, 2016년 948억원, 2021년 1250억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능률협회는 그러나 "국내 관련 분야에서 손꼽는 기업을 유치하는 것을 전제로 추정한 것이어서 관련 기업이 참여하지 않으면 예상치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능률협회는 이에 따라 현 시점에서는 용암 해수 사업의 타당성이나 경제성이 낮다고 결론지었다.

제주도개발공사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제주도와 도의회 등과 협의를 거쳐 용암 해수 사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나 부정적인 조사 결과가 나와 사업 추진이 순조롭지 않을 전망이다.

제주도는 애초 2012년까지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 해안 일대 15만1000여㎡에 용암해수산업화지원센터(사업비 100억원)와 산업화단지(사업비 145억원)를 완공할 계획이었으나 제주도의회의 반대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