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농가에 지원하고 있으나 상품감귤 비율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감귤정책이 개선돼야 할것으로 지적됐다.
제주농협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노지감귤 유통처리량은 63만2146t으로 생산 예산량(64만t) 대비 98.8%로 이중 도외 상품 출하량이 44만9353t, 가공용 처리량 12만2206t, 수출 2713t 등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산 노지감귤 품질을 분석한 결과 전체 감귤 생산량중 규격과 비율(2∼8번과)은 76.2%, 비상품과는 23.8%, 상품감귤은 72.5%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품감귤은 감소하고 비상품과 비율은 증가세를 보이는 등 감귤품질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년(2006년∼2008년) 평균 비율을 보면 규격과는 78.2%, 비상품과는 21.8%, 상품감귤 75%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상품감귤은 △2006년 76.1% △2007년 75.1% △2008년 73.9% △2009년 72.8%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반면 비상품과는 △2006년 20.6% △2007년 19.8% △2008년 25.1% △2009년 23.8%로, 4년간 3.2% 증가했다.
규격과는 △2006년 79.4% △2007년 80.2% △2008년 74.9% △2009년 76.2%로, 4년간 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규격과중 결점과 비율은 31.2%로 전년 대비 6.7%·평년 대비 6.3% 증가한 데다 0∼1번과 소과비율은 12.7%로 전년 대비 9.3%·평년 대비 7.3%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감귤 규격중 3·4·5번 중심으로 생산하면서 열매솎기와 직불제 이행 등을 통해 대과발생 비율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농협이 노지감귤 가격을 분석한 결과, 4번과 경락 가격에 대비한 8번과 가격은 △2004년 73.0% △2006년 67.8% △2008년 62.8% △2009년 59.6%로 갈수록 가격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감귤상품중 4번과(횡경 57∼58㎜)는 평균 1만400원을 기록, 가장 높았고 8번과(횡경 67∼70㎜)는 62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제주농협 관계자는 “4번과와 8번과의 가격차가 해마다 커지고 있어 농가 수취가격을 높이기 위해 3∼5번과가 많이 생산될 수 있도록 농가 지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