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산 전복과 홍해삼이 생산 증가로 도내 어촌계 마을어업 소득이 전년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 100개 어촌계가 관리하는 마을어업에 대하여 작년도 조수입을 분석한 결과, 소라.성게.톳 등 153억원을 생산하여 2008년도 150억원에 비하여 2%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8일 밝혔다.
조사결과, 해산물 총생산량은 3천468톤으로 전년도에 비해 5.6%가 감소했다.
그러나, 전복은 50%, 해삼 45%, 성게 41%, 톳은 3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연안어장 자원회복을 위한 수산종묘 방류사업의 지속 추진과 어촌계에서 자율적이고 체계적인 어장관리를 통한 결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생산금액은 153억 중 소라가 68억원으로 가장 많고, 성게 34억원, 톳 12억원, 해삼 7억원, 전복 6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라는 일본에 1410톤을 수출하여 500만불의 외화를 벌어들여 수산물 수출에 큰 역할을 했다.
수산종묘방류효과는 사계리어촌계인 경우 2006년부터 작년도까지 해삼종묘 15만마리를 방류한 결과, 지난 1월에 해삼 537kg을 시범 채취하여 1000만원 정도의 소득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대,강정,태흥2리,시흥리어촌계 등에서는 전복종묘를 방류한 결과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11월 수산종묘방류사업 관련 도내 어촌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바, 종묘방류 효과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다는 응답이 95%를 보였고, 종묘방류효과가 있는 품종으로는 홍해삼, 전복, 오분자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묘방류 적정물량은 5만마리 이상이 53%, 3만마리가 37%로 응답했다. 이에 따라 도에서는 어촌계별로 어장특성에 맞는 전복, 홍해삼 등을 많이 방류하여! 마을어업 소득을 더욱 높혀 나갈 계획이다.
제주자치도 관계자는, “올해에도 전 어촌계를 대상으로 수산물 통계관리, 수산자원회복 및 어장관리 등에 대한 평가제를 실시하고, 어업인이 스스로 자원을 관리하며 소득을 높여 나갈 수 있도록 자율관리어업 공동체를 현재 42개소에서 50개소로 확대시켜 나갈 계획이다“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