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주 노지감귤 유통처리는 비양심에 흔들린 감귤정책이란 비난을 받고있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 1차산업정책이 감귤산업에 치중된데다 올해산 노지감귤 과잉생산 으로 한쪽에서는 비상품감귤 유통행위가 급증해 감귤가격 하락에 주 원인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감귤출하조절이 무산되고 관행으로 이루어진 감귤검사 제도가 현실에 맞지않아 감귤농민들이 요구하는 당도를 의주하고 유기농인증으로 친환경 감귤재배 생산을 확대 하지 못하고 있는점도 지적되고 있다.
제주도가 올해산 노지감귤 유통 지도.단속을 집계한 결과 지난 9월22일부터 12월 22일까지 적발된 노지감귤 유통관련 위반행위는 728건으로 지난해 329건보다 2배이상 늘어났다.
이번에 적발된 위반행위를 유형별로 보면, 비상품감귤이 551건으로 가장많고 품질관리 미이행 153건, 강재착색 6건 규격위반 등 기타가 18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라운것은 일부 농,감협, 법인, 생산농민, 상인단체들이 비상품감귤을 유통하다가 무더기로 적발된것은 비상품감귤유통근절 다짐을 외면한 비양심 적인 문제로 평가되고 있다.
더우기 적발된 위반행위 728건 중 과태료를 부과 한것은 123건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경고나 주위 조치, 또는 의견진술로 나타나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이 약해 강력한 조치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해마다 비상품감귤 유통행위는 뿌리를 근절 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제주도에서 가장 많은 감귤을 생산하는 서귀포시 관내 공무원들과 읍면동주민자치위원회 등 마을주민들이 전국 97개 기관단체에 13만5000상자를 판매해 당초 목표보다 3만5000상자를 초과 했으며 연말까지 감귤 3만상자를 추가 판매할 계획이어서 17만상자가 무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비상품감귤을 유통시킨 생산자와 상인들에게 교훈을 주고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노지감귤이 제값을 받기 위해서는 생산농민들과 상인들이 자숙해 유통처리에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고 친환경 감귤생산에 따른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로 비양심적인 감귤경쟁력을 해결 하는방법 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