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재배되고 있는 월동채소가 과잉생산 되고 있지만 뚜렷한 대책없다는 지적이 되고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소속 양승문 의원은 19일 제주시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제주시 지역의 월동채소 과잉생산에 따른 처리대책에 대해 질타 했다.
양 의원은 "앞으로 양배추 매취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는데 사업 중단에 이유가 뭐냐"며 "도지사가 지난해 감귤을 자율로 맞기겠다고 했는데 올해 대대적으로 행정이 동원됐다"며 농정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양 의원은 이어 "물론 한림농협에서 큰 일을 했는데, 마무리가 매끄럽지 못해 문제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매취사업을)안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특히 양 의원은 "(양배추) 20%를 산지폐기 한다고 해도 농민들은 안한다"며 "양배추 생산량의 90%가 제주시 지역에서 생산되는 만큼 산지 농민들의 사정을 도지사에게 정확히 건의하라"고 요구했다.
강창식의원도 제주시 농민들이 재배한 월동채소에 대해 행정기관이 농가 보호 차원에서 매취 사업을 전개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강택상 제주시장은 "여러 여건을 고려할 때 올해 양배추 매취사업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농협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면서 자매도시를 통한 소비촉진 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