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거창 사과연구소 설치 '선심성' 논란

경남도농업기술원이 지역특화작목연구소 신설의 하나로 국비 지원을 받아 거창에 사과이용연구소를 설치키로 하자 전국민주공무원노조 경남지역본부가 사과연구소 예산이 타당성 없는 사업기대 효과를 근거로 추경에 편성됐다고 주장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경남본부는 27일 경남도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도가 국비와 도비를 각각 절반씩 모두 30억원을 투자해 거창에 사과이용연구소를 설치키로 하고 추경에 예산을 편성했다"며 "전국 재배면적의 8% 수준인 사과를 선정해 연구소를 설치키로 한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공노조는 또 "거창지역 사과는 생과일로 먹는 고급품인데도 이용과 가공중심의 연구소로 한정지우는 연구소를 설치한다는 것은 도지사 출신지역을 겨냥한 특혜"라며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사과 재배적격지가 충주까지 올라갔으며 10년후엔 충주마저 적격지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있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노조측은 또 이번 추경예산이 정부의 추경에 따른 억지 편성으로 경제위기에 대응한 서민예산과 일자리 창출사업과 거리가 먼데다 지방교부세가 줄어들어 지방재정이 갈수록 열악해지는 상황에서 과도한 지방채 발행은 재정 건전성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농업기술원은 사과이용연구소는 농업진흥청의 지역특화작목연구소 신설 수요조사에 따른 것으로 특화정도와 성장가능성, 파급효과, 지자체 관심도 및 인프라 등을 평가해 선정됐다고 밝혔다.

기술원은 또 2015년으로 예상되는 사과 수입제한 해제에 대비해야하고 사과는 경남에서 단감 다음으로 재배면적이 많은 과일인데다 경남의 특징인 고산지대 사과 생산기술 정립을 위한 연구는 물론 신수요 작물 발굴과 특산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