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생명연, 동해독도 염기서열 해독 성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이상기)은 우리나라 독도에서 발견한 새로운 종류의 해양 미생물인 '동해아나 독도넨시스(Donghaeana dokdonensis, 이하 동해 독도)'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완전히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동해 독도는 미생물소재은행 윤정훈 박사 연구팀이 지난 2004년 독도 앞바다에서 채취, 분리한 미생물로 진화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종(種)으로 판명돼 2006년 미생물분류학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영국 IJSEM에 공식 발표됐다.

해양 미생물은 지구 기초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산업적 가치가 높은 유전자원의 보고로 '동해 독도'의 유전자 정보는 유전체의 비교, 진화, 기능 연구를 비롯해 유용 생리활성물질 또는 단백질 발굴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생명연 김지현 박사팀과 과학기술연합대학원 대학교 권순경 연구원(석사과정)에 의해 주도됐으며 내달 8일부터 프랑스 파리의 파스퇴르연구소에서 개최되는 미생물 유전체 분야의 국제 학술대회인 'Genomes 2008'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또 이미 유전체 분석이 완료된 김치 유산균 '류코노스톡 시트리움(Leuconostoc citreum)'과 함께 오는 4월 한국인 첫 우주인을 통해 국제 우주정거장으로 보내져 생리화학적 변화와 DNA 돌연변이, 유전체 진화 등에 관한 분석도 진행된다.

미생물유전체프론티어 사업단장 오태광 박사는 "우리 토종의 유용 생물자원에 대한 생명정보의 청사진을 확보했다는 데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사람에게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 개발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