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HACCP 인식 부족이 활성화 걸림돌"


경인지역HACCP발전협의회 창립 기념 세미나서 지적

식품안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안으로 HACCP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HACCP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16일 인천 로얄호텔 컨벤션홀에서 경인지역 HACCP 발전협의회 창립 기념 세미나에서 ‘HACCP 추진정책 및 전망’을 주제발표한 식약청 식품안전기준팀 손문기 팀장은 “HACCP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부족으로 활성화가 지연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손 팀장은 “전체 제조 가공업소의 약 0.9%에만 HACCP이 적용되고 있어 국민의 식품 안전 기대 수준에 전혀 못 미치고 있다”며 “대형 식중독 사고 등 다양한 식품 안전사고가 지속 발생해 HACCP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효과가 미흡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HACCP의 문제점으로 ▲올바른 이해와 인식 부족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연 ▲왜 필요한지,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인식과 역량 부족 ▲소비자, 업계, 학교, 정부 등 전반적으로 이해 및 전문 인력 부족 ▲선진국에 비해 안전 위생 관리 기준이 취약, 과거에 안주 경향 등을 꼽았다.

손 팀장은 “HACCP의 활성화를 위해서 교육 홍보 및 지침 보급, 제도 활성화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전문 인력 양성, 현장 중심의 위생 관리를 위한 운영 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며 “HACCP의 체계화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제고하고 식품위생 수준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효과적인 HACCP 확대 방안’을 발표한 중앙대학교 박기환 교수는 “식품전문지식 가진 심사원 확보와 HACCP과 ISO22000가 조화될 수 있도록 검토 및 보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HACCP 도입의 장애요인으로 ▲HACCP 적용기술 부족 ▲최고경영자의 HACCP 인식부족 ▲시설 및 설비부족 ▲인적자원 및 자금 부족 ▲소비자 인식도 및 업체의 도입의지 부족 등을 꼽았다.

그는 “중소업체에 대한 기술 및 교육, 의무적용 영세업소의 효율적 지정과 사후관리, 실시상황 평가기준의 보완 등이 필요할 것”이라며 “HACCP 제도를 보완해 효과를 소비자들에게 입증하고 발전협의회가 관련업계에 HACCP 운영 경험 제공한다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