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방사선 조사식품 소비자 이해증진 필요”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증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14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효율적 미생물 제어방안’을 주제로 양재동 aT센터 중회의실에서 개최한 식품안전의 날 기념 학술 심포지엄에서 ‘방사선 조사식품의 안전평가’를 발표한 식약청 정형욱 박사는 검지법의 향후과제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정 박사는 “WHO, FAO, IAEA, FDA 등이 방사선 조사식품의 안정성 및 건전성을 인정하고 국내에서도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허가가 이뤄지고 있다”며 “실험방법의 표준화와 함께 교육 및 검역업무에 기술이 전수돼야 하고 검정실험을 통한 검지방법의 판별력이 확인과 함께 소비자의 이해가 증진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들의 선택을 위해 세계소비자연맹도 요구하고 있고, 조사식품의 허가규정 준수, 방사선 조사식품의 수출입 관리와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검지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며 검지법의 기본요건으로 ▲방사선 처리에만 특이적 ▲정확하고 재현성이 있을 것 ▲다양한 식품에 적용가능 ▲조작과 측정이 간편할 것 ▲저렴한 비용을 꼽았다.

정 박사는 “소비자 이해 증진을 위해 식품이 어떤 목적을 위해 방사선 처리됐고 이로 인해 품질이 개선됐다는 사실을 비롯해 국제기구와 정부에서 안전성과 타당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관리 방안’을 발표한 전북대학교 신동화 교수는 “식품 안전사고는 사전예방이 최우선”이라며 “이를 위해 잠재적 위해원인 파악과 합리적 대처, 정부와 생산자의 역할 분담, 소비자의 자기 보호가 가능하도록 교육과 홍보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교수는 “안전관리 분야의 확대를 비롯해 소비자의 안전의식 강화, 새로운 위해 인자의 출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식품의 안전관리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며 “향후 식품안전관리는 위해의 예측을 시작으로 국가 등의 차단방법의 제시, 현장적용, 안전식품 생산이 이뤄져 소비자의 신뢰구축과 손실의 극소화를 이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선행 안전관리를 위해 GAP, GMP, SSOP 등 제도의 합리적 도입과 다원화된 식중독 관리 시스템을 정비 등 제도적 장치와 다양한 식품 위해 정보와 안전성 등 선행연구 수행, 위생관리 공무원, 식품업 종사자, 소비자단체, 언론 등의 교육 강화, 소비자를 비롯해 소비자 단체, 언론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등의 Safety communication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