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어린이 불량식품 업체 197곳 적발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시·도 및 시·군·구 등과 합동으로 실시한 어린이 기호식품 제조업체와 수입 또는 소분해 판매하는 업체 968개소에 대한 단속 결과 20%에 해당하는 197개 업체의 위반행위를 적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단속에서 적발된 197개 업체 중 4개 업체는 무허가로 식품을 제조하다 적발됐고 유통기한이 지난 원료를 사용한 11개 업체,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고 식품을 유통시킨 9개 업체도 적발됐다.

이번 단속에서도 자가품질검사를 하지 않거나 원료수불부와 생산·작업 일지 등의 구비서류 작성하지 않는 행위, 식품의 위생적 취급기준을 지키지 않는 등 과거부터 적발이 많이 됐던 위반행위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청은 위반행위로 적발된 업체 중 28개소는 영업취소, 54개소는 영업정지토록 하고 나머지 업체는 품목제조정지, 시설개수 등의 처분을 하도록 해당 시·군·구청에 요청했다.

또한 식약청은 전국의 104개 초등학교 주변지역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기호식품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값싸고 조잡하게 만든 100원 내외의 사탕, 젤리가 많이 판매(52%)되고 있고, 수입제품이 40%를 차지하는 등 가격이 저렴한 수입식품 비중이 계속 늘어나고 수입지역도 17개국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학교주변에서도 편의점, 슈퍼마켓의 경우 식품이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으나, 어린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학교 앞 문구점, 영세한 분식점, 노점상 등 학교주변의 위생상태가 전반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주변 200m 지역에는 문구점, 소형 마트, 분식점, 패스트푸드점 등 어린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기호식품 판매업소가 평균 9개소 정도 영업을 하고 있고 이 중 문방구, 소형마트가 5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식약청은 “이번 합동단속과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 기호식품의 안전관리 환경이 정착될 때까지 제조-유통-판매과정 전반에 대한 단속 활동을 강화와 사용이 금지된 보존료, 색소, 인공 감미료 사용과 병원성 세균 등에 의한 오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거 검사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반업소 명단은 식약청 홈페이지(http://www.kfda.go.kr) 식품정보 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