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한미 양국이 상호관세를 조정하면서 국내 식품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정부가 쌀·소고기 등 민감 품목은 추가 개방 없이 방어에 성공했지만 일부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율이 인상되며 식품 업계의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1일 대통령실은 “한국과 미국은 상호 협의 끝에 기존 25% 관세율을 15%로 조정하기로 했다”며 “이번 협상은 식량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쌀과 소고기는 협상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수출 품목에 대해선 관세율이 기존 10%에서 15%로 오르며 부담이 커졌다. 이번 조정은 8월 1일부터 적용된다.
식품업계는 생산지에 따라 반응이 엇갈린다. CJ제일제당은 2019년 슈완스 인수를 통해 미국 내 냉동식품 공장을 확보했고, 농심 역시 캘리포니아에 두 개의 공장을 운영 중으로 직접적 타격은 적다.
반면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시리즈의 북미 인기에 힘입어 수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80%에 달하지만 미국 내 생산시설이 없어 관세 영향을 직접 받게 된다. 특히 미국으로 수출하는 라면은 4월부터 10% 관세가 부과됐으며, 8월부터는 15%로 상향된다. 미국에서 불닭볶음면의 소비자 가격은 봉지당 약 1.5달러 수준이다.
삼양식품은 지난 6월 밀양 2공장을 준공하고 까르보 불닭볶음면 등 북미·유럽 수출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국내 생산 기지 기반인 만큼 관세 부담을 완화할 만한 구조 전환은 제한적이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주요 경쟁국과 동일 조건에서 협상이 타결돼 다행이지만 일부 제품은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치를 앞세워 북미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대상도 상황은 비슷하다. 2022년 미국 LA 인근에 김치 생산공장을 세우고, 지난해에는 현지 식품업체 럭키푸즈를 인수하며 현지화를 꾀했지만 종가 김치 수출 물량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한국에서 수출하고 있어 관세 영향권에 있다.
업계는 관세 부담에 따라 가격 인상 또는 현지 생산 확대 등 대응 전략을 고민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관세 인상이 단기간에 수출 타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지만 이익률 하락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