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전국한우협회가 정부의 한미 통상협상 기조에 강한 반발을 표하고 나섰다.
협회는 15일 성명을 내고 “농축산업을 또다시 희생양으로 삼을 것이냐”며 미국산 소고기에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요구했다.
전날(14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한미 통상 협상 관련 브리핑에서 “모든 협상에서 농산물 분야가 고통스럽지 않은 통상 협상은 없었다”, “농산물도 이제는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한다”고 언급한 것이 이번 반발의 도화선이 됐다.
한우협회는 이번 발언을 두고 “농축산업의 희생을 당연한 전제로 삼는 것”이라며 “전국 농축산인들이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한우협회는 한미 FTA 이후에도 정부의 보완대책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협회는 “타 산업은 성장했지만 농축산업은 퇴보했다”며 “1조 원을 약속한 여야정협의체는 말뿐이었고, 걷히지 않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일몰된 도축장 전기세 감면, 연장되지 않은 피해보전직불금, 발동되지 않는 송아지생산안정제 등으로 한우산업은 매번 희생양이 되어왔다”고 주장했다.
현재 미국산 소고기의 최대 수출국은 한국이다. 2024년 기준, 미국산 소고기 수입량은 22만 1,629톤으로 전체 수입량(46만 1,027톤)의 절반에 육박한다.
협회는 “내년이면 미국산 소고기 관세가 0%가 되는데, 이 상황에서 미국이 상호관세를 명분으로 농축산물 비관세장벽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며 "정작 우리가 미국산 소고기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더 논리적”이라고 강조했다.
한우 농가의 현실도 벼랑 끝이다. 협회는 “2024년 기준 한우 1두당 적자가 161만 원”이라며, “이는 산업 경쟁력의 문제가 아니라 농민들이 피눈물로 버티는 상황일 뿐”이라고 밝혔다.
협회는 ‘식량자급이 곧 국가안보’라는 말을 반복해 온 정부를 향해 비판의 화살을 겨눴다. “농민들은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 남은 건 결국 아스팔트 농사뿐”이라며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