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치매환자 실종 매년 증가…배회감지기 보급률은 6%대 그쳐

2024년 치매환자 91만 명·실종신고 1만5천 건 넘어…지문사전등록도 절반 미달
이종배 의원 “제도는 있어도 정보 부족…실효성 높이려면 홍보 강화 시급”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치매환자 실종 사례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실종 예방에 도움을 주는 배회감지기 보급률과 지문사전등록은 저조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이종배 의원(충북 충주, 4선)이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치매환자 수는 ▲2020년 529,475명 ▲2021년 785,087명 ▲2022년 825,858명 ▲2023년 868,801명 ▲2024년 910,898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환자 실종신고 접수 건수 또한 ▲2020년 12,272건 ▲2021년 12,577건 ▲2022년 14,527건 ▲2023년 14,677건 ▲2024년 15,502건으로 증가 추세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치매환자 실종 예방을 위해 배회감지기 보급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배회감지기는 치매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보호자가 설정해둔 권역을 벗어날 경우 긴급 알림이 전송되는 위치정보시스템(GPS) 기반 기기이다. 치매환자 실종 시 발견까지 평균 12시간 소요되지만, 배회감지기 이용 시 약 40분까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신규 치매환자가 매년 늘고 있는 것과 대비해,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2021년 1.23% ▲2022년 6.5% ▲2023년 4.94% ▲2024년 6.1%로 집계됐다. 건강보험공단 설문조사 결과, 배회감지기 이용률 저조의 가장 큰 원인은 정보 부족(47.9%)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경찰청에서는 치매환자 조기발견을 위해 지문과 사진, 보호자 인적사항 등을 미리 등록하는 지문사전등록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25년 3월 기준 누적등록률은 44%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종배 의원은 “배회감지기, 지문사전등록 등 치매환자 실종예방을 위한 제도와 사업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이용자들의 정보 부족으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고령화 추세 속 치매환자 및 실종신고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