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월드컵 앞두고 ‘식중독 비상’


◇한 기업체 구내식당의 단체급식모습

복지부 위생정책 허점 드러내

호텔에서 일본손님 53명 집단 발병
국내 발생 환자 중 76.3% 초중고생


지난 3일 국내단체관광에 나섰던 일본인 관광객 53명이 집단 식중독 증세로 입원 치료를 받은 것을 비롯 크고 작은 식중독 사고가 빈발, 관계당국은 물론 요식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일본인 국내 단체 관광객은 사고 하루전 용산구 이태원동 대형음식점에서 비빔밥·갈비등을 먹은뒤 근처 노점에서 딸기를 사 호텔에서 나눠먹었다.
관광객 시바씨는 “밤 11시 쯤부터 일행과 함께 구토와 설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딸기를 씻지 않고 먹은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일본 도쿄의 R화장품 회사 직원들로
지난 1일 연수와 관광을위해 3박 4일 일정으로 한국에 입국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각 병원측은 환자들의 가검물을 채취하는 한편 이들이 먹은 식당 음식물과 딸기 등을 수거, 정밀 역학조사에 들어갔다. 국립보건원 이종구 방역과정은 “세균성 식중독으로 추정되며, 증세가 심하지는 않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집단식중독 증세를 보여 시내 5개 병원에서 분산, 치료를 받았던 일본인 관광객 53명 전원이 치료를 끝내고 이날 오후 모두 퇴원했다고 밝혔다.
병원 응급실을 찾은 일본대사관 관계자는 “관광객 수십만명이 몰릴 월드컵을 앞두고 위생상태가 우려된다.”면서 “이런일이 재발되면 나쁜 이미지를 심어줄수 있다.”고 꼬집었다.

월드컵문화시민운동 서울시협의회 송기영과정은 “업소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청결상태를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 “청결하고 외국인 입맛에도 맞는 음식정보 서비스를 조만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올초부터 5월말까지 전국 식품제조업자와 영양사, 조리사 82만명을 대상으로 특별위생 교육에 들어갔다.”면서 “교육을 받지 않으면 업주에게 2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조리사, 영양사에게 업무정지 처분을 내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는 4일 학교급식에 의한 식중독 학생수가 1998년 1,385명에서 지난해 4,889명으로 3.5배로 늘었고, 지난 2월엔 식중독 발생이 뜸한 시기임에도 인천(경남(광주의 초등학교에서 집단 식중독이 발생하자 3월부터 오는 7월까지 ‘학교 식중독 제로운동’을 펴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식중독 환자수는 모두 6,406명이며 이 중 76.3%인 4,889명은 초·중·고학생으로, 이들은 모두 학교에서 먹은 비위생적인 급식이 원인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급식 식중독 학생의 63.2%인 3,089명에 대해 보건당국이 역학조사를 벌였음에도 원인균조차 찾아내지 못해 방역체계에 허점을 노출했다.
지난 1월에는 삼성에버랜드 유통사업부가 위탁운영하는 삼성광주전자 구내식당에서 식중독으로 인한 환자가 100여명이 넘게 발생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기도 했다.

이 위생사고는 지난 1월 9일 삼성광주전자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먹은 직원들 중 100여명이 복통과 설사 증세로 병원에 입원, 이중 10여명은 증세가 심했던 것으로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