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농약친 녹즙', 의혹인가 해프닝인가

풀무원 이미지추락 … 일파만파 우려

풀무원의 비유기농 녹즙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먼저 대표적 청정기업의 이미지를 갖고 있던 풀무원이 한바탕 '홍역'을 치르고 있음은 물론, 이번 사건이 전체 유기농시장에 대한 불신으로 번지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25일 KBS는 몇몇 농부의 증언을 토대로 "농약 친 '유기농'녹즙 유통"이란 제목으로 "풀무원이 팔아온 유기농 녹즙이 엉터리였음이 뒤늦게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이에 풀무원은 네티즌들의 거센항의에 직면했고, 녹즙뿐만 아니라 풀무원 전제품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다.

평소 고객문의에 2~3건의 글이 올라오던 풀무원 사이트엔 보도이후, 하루 평균 200여개의 항의글이 올라오고 있는 실정.

풀무원녹즙 고객이라 밝힌 한 네티즌은 "풀무원의 회사 이미지를 신뢰해 다소 비싸더라도 구입해 마셨는데 이번 일로 크게 실망했다"며 "배달중지는 물론 손해를 배상하라"고 요구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평소 풀무원두부와 콩나물을 애용했는데, 이젠 타사 제품을 사야겠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풀무원은 26일 자사홈페이지에 해명의 글을 올려 진화에 나섰다.

풀무원은 "KBS보도와 달리 농약과 화학비료를 친 일반농산물을 유기농 녹즙의 원료로 사용한 적이 없다"며 "매년 3억 2천만원의 비용을 추가 부담해가며 풀무원이 납품받는 모든 원료와 토양에 대해 잔류 농약검사를 실시, 명일엽과 케일의 경우 잔류 농약 검사에서 농약이 검출된 사례가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덧붙여 "일부 유기재배중인 원료가 2001년 납품된 일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서 진상을 파악할 예정"이라며 언론중재위에 제소할 뜻을 밝혔다.

국립농산물관리원으로부터 유기농인증을 받기 위해선 전환기유기농인증 후 일정기간(2~3년)이 경과돼야 한다. 전환기유기농에서도 화학비료와 농약은 일체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풀무원녹즙에 농약이 들어갔을 확률은 거의 없다는 것이 회사측 주장이다.

풀무원측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사태는 진정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26일 MBC뉴스보도를 통해 친환경인증에 대한 설명과 풀무원이 제시한 농약 미검출 자료가 방영되자 진정될 듯 보였으나, 같은 날 KBS의 '돈으로 인증마크를 살 수 있다'란 보도 이후 다시 원상태로 돌아갔다.

뉴스를 잘 못 이해한 일부 네티즌은 유기가공인증을 받은 풀무원 공장도 도매급으로 비난하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사태가 이지경이 되자 27일 풀무원에 현재 납품하고 있는 유기농농가의 증언을 동영상으로 제작해 내보내고 있다. 하지만 사태는 쉽게 진정될 것 같진 않아 보인다.

한편 KBS보도엔 농약과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는 유기농100%는 불가하다란 내용이 담겨 있어, 이번 일이 풀무원의 문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유기농 전체시장의 위축으로 까지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미 상당수 네티즌들은 "유기농인증이 몇 년씩이나 걸린다더니 기존에 나와 있는 그 많은 유기농산물은 어디서 난거냐"며 전체 유기농에 대한 불신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유기농 농가들은 "KBS보도와 달리 힘들긴 하지만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100%유기농은 가능하다. 만약 불가능하다면 정부의 인증제도는 왜 있냐"며 "KBS의 악의적 보도로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