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통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직거래를 활성하고자 만들어진 지자체의 농수산물 쇼핑몰이 예산만 낭비한‘무용지물’이란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4일 김우남의원(열린우리당)은 농림부국정감사에서 이같이 지적하고“정부의 실패한 정책인‘농업인홈페이지사업이 마케팅 의식이나 관리·홍보능력부족에서 기인했다는 분석을 감안해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했다.
김 의원에 의하면, 2003년 말 기준, 전국 64개 지자체에서 운영중인 66개의 쇼핑몰의 총매출액은 58억6,100만원이다. 이중 경기도, 목포시, 강남구 등 5개 지자체의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64%(40억원)를 차지해 쇼핑몰간 빈익부부익부 현상이 심하다.
특히 66개 쇼핑몰의 평균매출액은 연간 888만원에 불과하며, 전체의 36.4%인 24개 쇼핑몰의 매출액이 1천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사이트 운영에 대한 지자체의 충분한 사전 준비와 운영이 부족한 상황에서 전시행정의 일환으로 구축한 것”처럼 보인다고 밝힌뒤“전체 농산물 전자상거래 규모가 증가추세임을 감안하면 지자체의 농수산물 쇼핑몰의 매출액 부진은 심각한 문제다”며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경진기자/lawyoo@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