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조씨푸드 '생식용냉동참다랑어', 사옹원 '아르미잡채' 등 부적합 판정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논란으로 국민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아 폐기처분된 식품이 국내에서는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경북 군위.의성.청송)이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국내 식품 수가 2010년 1건이던 것이 2011년 2건, 지난해 11건, 올들어 3월까지 5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식품 가운데 68%인 13건이 수산 가공식품이었으며, 9건은 국내 시중에서 유통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자료에는 사옹원 아르미잡채(대장균검출), 청아굿푸드 무말랭이오징어젖(대장균군), (주)정필 생식용냉동참치(대장균 기준초과), (주)사조씨푸드 생식용냉동참다랑어(대장균군), (주)마츄피 고구마코로케(세균 기준초과) (주)네추럴웨이 nano panex korea(세균 기준초과), 세준푸드 수정과(폴리소르베이트80 기준초과), 영동식품 오징어젓·멍게젓·오청비빔젓(폴리소르베이트80 기준초과), 선호식품 창난젖(소르빈산칼률검출) 등에서 대장균 등이 검출돼 일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나 국내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올 3월까지 유통됐다.
3년여 동안 일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식품 중 68%인 13건이 수산 가공식품이며, 이 중 47%인 9건이 국내에 유통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김 의원은 "곰팡이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검출된 수산 가공식품이 식약처 자료에는 '국내에 유통되지 않는다'고 표기돼 있지만 업체에 확인한 결과 다른 상품명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일본의 식품안전 기준치를 초과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식품이 국내에서는 유통되고 있는데도 식약처가 사후관리는 물론 귝내에서 유통되는지 여부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위험으로 국민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은 만큼 국내식품 안전관리 프로세스를 재점검하는 등 대책을 세워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