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4 국감] 1975·1985·1995년생 연금 더 내고 혜택은 더 적게 받는다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부가 발표한 연금개혁안 중 보험료율 인상 속도 차등화가 적용될 경우 세대 경계구간에 있는 연령(1975년생, 1985년생, 1995년생)이 최대 보험료를 152만원을 더 부담할 수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받는 순혜택(총 연금액 – 총 보험료)도 역전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받은 ‘보험료율 인상 속도 차등화에 따른 출생연도별 총 보험료와 총연금액, 순혜택 현황'자료에 따르면 1975년생은 1974년생에 비해 총 보험료를 252만원 더 납부하지만 순혜택은 750만원 덜 받는 것으로 추계됐다. 또한 1985년생은 1984년생에 비해 총 보험료를 144만원 더 내지만 순혜택은 464만원 덜 받고 1995 년생은 1994년생에 비해 총 보험료를 144만원 더 납부하지만 순혜택은 233만원 덜 받는 것으로 추계됐다.


이 처럼 보험료는 더 내지만 총 연금액이 줄어드는 경우도 있고 보험료를 적게 내지만 순혜택은 늘어나는 경우도 발생했다. 예를 들면 1996년생은 1995년생에 비해 총 보험료를 136만원 적게 내지만 순혜택은 56만원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는 연금개혁안에 소위 세대간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을 제고한다며 국민을 50대, 40대, 30대, 20대 이하 등 4개 연령층으로 구분해 연령층마다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방침을 담았다. 50대는 매년 보험료율을 1%p 올리고 40대는 0.5%p, 30대는 0.33%p, 20대는 0.25%p씩 올리는 방안이다. 그런데 이러한 차등화 방식을 채택할 경우 세대의 경계에 있는 연령인 1975년생, 1985년생, 1995년생은 한 살 차이로 총 보험료 액수 및 순혜택이 역전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전진숙 의원은 “세대간 형평성을 제고한다며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보험료율 인상 속도 차등화'가 오히려 ‘더 내고 덜 받는 ’세대를 만들어낸다는 것이 복지부 추계 결과로 확인됐다. 사회적 혼란과 세대간 갈등을 연금개혁안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