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어기구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당진시)은 23일 한국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자마권 제도 도입 불법경마 적발 건수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마사회는 2023년 불법경마 근절과 도박중독 방지를 목적으로 전자마권을 시범 도입하고, 2024년부터 정식운영을 시작했다. 전자마권 매출액은 ▲2023년 144억 원, ▲2024년 7,313억 원, ▲2025년(10월 19일 기준) 1조 835억 원으로 3년 만에 약 75배 급증했다. 전체 매출의 20.9%를 차지할 만큼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누적 등록 인원은 11만 5,471명, 연간 이용자 수는 612만 명에 달했다. 하지만 불법경마 적발 건수는 줄지 않았다. 2020년부터 2025년 10월까지 불법경마 사이트 단속 10만 1,099건 중 41%(41,582건)이 전자마권이 정식 시행된 2024년 이후에 집중됐다. 같은 기간 폐쇄된 불법사이트 78,215개 중 42%(33,070건) 역시 2024년 이후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합동단속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확인됐다. 2020년부터 2025년까지 현장 단속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최근 노인의 수면제·신경안정제·마약성 진통제 남용과 함께, 청소년·대학생의 ADHD 치료제(메틸페니데이트)를 ‘공부 잘하는 약’, 식욕억제제를 ‘다이어트 약’으로 잘못 사용하는 사례가 우려된다며, 추석 명절을 계기로 가족 간 관심과 대화를 통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2일 밝혔다.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는 두통, 불면증, 환각, 중독으로 인한 학습 부진 등의 부작용이 보고돼 있으며, 식욕억제제 역시 정신이상, 역류성 심장판막 질환, 폐동맥 고혈압, 불안감·불쾌감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인 또는 부모님이 투약했거나 투약 중인 마약류 의약품 종류는 ‘의료용 마약류 안전도움e’(data.nims.or.kr/main.do)나 ‘마약류안전정보도우미’ 앱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사람의 본인인증(동의) 후 최근 2년간의 투약 이력을 조회할 수 있으며, 본인 명의로 다른 사람이 마약류를 처방받는 등의 불법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약류는 오남용 시 중독, 심각한 부작용, 사망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추석을 맞아 방문한 부모님댁 등 가정에서 사용(복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