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부가 간장 식품유형을 간소화하는 개정안을 추진하자 시민단체에 이어 정치권까지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전통 장류의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국회 중진의원들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개정안 추진 동력이 흔들리고 있다. 11일 국회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산하 식품안전정보원은 지난 8월 13일 서울 용산구 비즈센터에서 ‘식품공전 분류 체계와 기준·규격 개선을 위한 산업계 자문단 회의’를 열고 간장 유형 개정안을 공개했다. 현행 식품공전상 간장은 ▲전통메주를 이용한 '한식간장' ▲콩에 밀.보리를 섞고 종국균을 띄워 제조한 '양조간장' ▲탈지대두를 염산으로 분해한 '산분해간장' ▲콩단백을 효소로 분해한 '효소분해간장' ▲한식간장.양조간장에 분해간장 등을 섞은 '혼합간장' 등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개정안은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한식간장과 양조간장을 ‘발효간장’으로 통합하고, 두 제품 모두 콩을 원료로 미생물 발효와 숙성 과정을 통해 아미노산 성분을 형성하는 동일한 제조 원리를 갖는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또한 산분해·효소분해간장은 ‘소스류-아미노산액’으로 재분류하도록 했으며, 혼합간장은 ‘
[푸드투데이 = 노태영 기자] 전통 장 생산자와 소비자, 시민단체가 한목소리로 정부의 장류 식품공전 개정안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10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발효 없는 화학장은 간장이 될 수 없다”며 개정안 철회를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대책위가 공동 주최했으며, 간장포럼·녹색소비자연대·한살림연합 등 전국먹거리연대, GMO반대전국행동 등 40여 단체가 참여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지난 8월 장류협동조합 요청을 근거로 간장·된장·메주 등 현행 5종 장류 유형을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식품공전 분류체계 개편 연구사업(2025.3~12)을 통해 ‘장류→조미식품’으로 대분류를 변경하는 안까지 논의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책위는 “장은 발효가 본질인데, 염산으로 대두박을 분해해 3~4일 만에 대량 생산하는 산분해 간장은 발효식품이 아닌 단순 화학조미료”라며 “발효 간장과 동일 분류로 묶을 경우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이 침해된다”고 비판했다. 송옥주 의원은 “한식메주, 한식간장, 한식된장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며 “행정 편의주의가 아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