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가 지난 10일 경기 안양시에 위치한 오뚜기 중앙연구소에서 ‘제3회 식품안전과학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식품안전과학 심포지엄’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가 주최하고,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가 주관하고 있으며, 명실상부한 국내 식품안전문화 발전을 위한 실질적 논의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디지털 기술을 통한 식품안전관리의 혁신과 발전(Advancing Food Safety through Digital Technology)’이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식품안전 분야 학계, 연구기관, 공공기관 및 산업체 관계자 등 230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과 열기를 보여줬다. 이날 행사는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오세욱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오뚜기 황성만 대표이사 축사와 기념촬영 ▲세션1. 식품안전을 위한 디지털 위해정보관리체계 구축 방안 ▲세션2. 빅데이터 활용 식품안전 디지털화 기술개발 현황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중앙대학교 최창순 교수가 좌장을 맡아 '식품안전을 위한 디지털 위해정보관리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식품의약품안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오는 7월 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Future of Fermented Foods: Advanced Fermentation Technologies for Kimchi and Beyond라는 주제로 김치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식품과학회(회장 박영서)가 주최하는 2025년 국제학술대회의 공식 프로그램으로, 김치를 중심으로 한 발효식품 산업의 미래를 다양한 학제 간 융합의 시각에서 조망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은 인공지능(AI), 초분광 영상 기술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발효식품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원태웅 세계김치연구소 박사가 김치유산균 발효에 대한 통합 머신러닝 예측에 대해 발표한다. 또한 하지형 세계김치연구소 융합바이오소재연구단장의 김치 품질 예측을 위한 초분광 이미징 기반 기술, 김상오 단국대학교 교수의 AI와 IoT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김치 발효 상태 예측, 이상민 Next Tomorrow CTO의 김치 발효 역학 예측을 위한 AI 기반 모델에 대한 설명한다. 세계김치연구소는 김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해 김치산업의 고도화와 연구 생태계 확장을 추진해왔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