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우리 식탁에서 식용유는 언제부터 당연한 재료가 됐을까. 참기름 한 방울로 풍미를 냈던 시절을 지나 대두유로 볶고 튀기던 산업화의 시대, 그리고 건강을 우선시하는 저온압착 오일의 부상까지. 식용유 한 방울에 담긴 70년의 변화는 한국인의 식생활을 관통하는 중요한 단서다. 6·25 이후 한국 식용유 산업과 식문화 변화, 원료 수입 구조, GMO 논쟁, 전통 기름의 현재까지 한국 식용유의 70년, 그 격동의 흐름을 짚는다.<편집자주> 전쟁과 함께 온 기름…한국 식용유의 첫 등장 한국 사회에서 식용유가 본격적으로 식탁에 오르기 시작한 것은 6·25 전쟁 이후였다. 전쟁 직후인 1950년대 초반, 미국의 구호물자(PL480)로 옥수수기름, 쇼트닝, 마가린 등 서구식 식용유 제품이 대거 유입되면서다. 당시 대부분의 한국 가정은 기름 없이 조리하는 식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전통적인 조리법은 구이, 찜, 삶기, 무침, 조림 중심으로, 기름은 일부 참기름이나 들기름 등 향미용으로만 제한적으로 사용됐다. 튀김은 일부 사찰 음식이나 명절 음식에 국한돼 있었고, ‘프라이’라는 조리 개념 자체가 낯선 문화였다. 하지만 전후 원조물자에 포함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민족 대명절인 '추석'이 얼마 남지 않았다. 추석에는 떨어져 지냈던 가족이 모처럼 모여 부침개(전), 송편, 잡채 등 다양한 명절 음식을 함께 만들어 먹는다. 이 중에서도 명절 음식에서 빠지면 안될 부침개는 동그랑땡, 꼬치전, 호박전, 생선전, 배추부침 등 그 종류만도 다양하다. 이때 꼭 필요한 재료가 있다. 바로 '부침가루'다. 부침가루는 최근 가정간편식(HMR) 시장 확대와 탄수화물, 밀가루 중독 등 건강관련 이슈 등으로 찾는 이가 줄었지만 최근 들어 소비가 살아나는 분위기다. 부침가루의 최대 대목은 일년 중 추석 명절이 낀 3분기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부침가루 매출 규모는 2018년 415억 원으로 2014년 412억 원보다 0.7% 증가했다. 2016년도에는 381억 원으로 전년대비 감소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후점차적으로 소비수준을 회복하고 있다. 부침가루는 부침개 등 수요가 높은 추석 명절이 껴있는 매년 3분기 가장 높은 매출액을 기록했다. 지난해 분기별 매출 현황을 살펴 보면 1분기 105억 원, 2분기 947억 원, 3분기 133억 원, 4분기 810억 원으로 1분기에도 설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사업주에게 일정비율의 장애인 고용을 할당하는 '장애인 고용의무제도'가 시행된 지 29년이 됐지만 아직도 식품업계의 장애인 채용은 소극적인 모습이다.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8조 및 시행령 제25조에 따르면 상시 50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는 상시근로자의 2.9% 이상(‘17년~’18년 2.9%, ‘19년 3.1%)을 장애인으로 고용해야 한다.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한 사람당 월 59만원의 부담금을 내야한다. 1991년 장애인 의무고용제 시행 이후 장애인고용률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인데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은 2017년 3.0%에서 2018년 3.2%로, 같은 기간 민간기업은 2.7%에서 2.9%로 증가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식품기업들은 장애인 고용의무 이행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고용노동부는 민간기업의 경우 상시 300인 이상 기업 중 고용률 1.35% 미만인 사업장에 대해 장애인 고용 저조기업으로 명단공표해 고용의무 이행을 독려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12월 장애인 고용의무 불이행 기관 및 기업 명단(2017년 12월 기준)을 발표, 다수의 식품업체들이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