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여름이 아닌데 한여름과 같은 무더운 날씨가 계속된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아닌가 생각된다. 겨울후반부터 시작한 코로나19는 아직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통 겨울에 발생한 전염병은 여름이 되면 자연히 없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것은 아주 강한 변종코로나바이러스다. 또한 인위…
우리가 가장 많이 먹는 간장은 산분해간장일 것이다. 2017년, 식약처의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에서는 혼합간장이 44.4%, 양조간장이 30.7%, 산분해간장이 18.1%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는 그런 사실을 잘 모르고 있다. 그 이유가 혼합간장이란 이름으로 팔리고 있기 때문이다. 혼합간장이란…
스님들이 산중 절에서 주로 먹던 음식이 최근에 와서 이렇게 각광을 받을 것이라는 것은 미처 상상도 못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현대인들의 식습관이 영양과잉 편식 단음식 등이 몸에 아주 안 좋은 결과가 나타나자 사찰음식에 주목하게 됐다. 사찰식단이 주로 밥 국 김치나 나물 등이고 가끔씩 특별한 날에는 두…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만 살아남아 뭐할건가”. 몇 일전 한 축산전문지에 실린 기사의 제목이다. 기자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규제는 ‘지나치다’는 표현조차 점잖아 보인다.” 고 현 정부의 방역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지나치다는 표현도 점잖아 보이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축산차량…
가죽은 향이 진하고 독특하다 해마다 보드라운 잎이 열리면 뜯어 여러 가지 반찬으로 또는 장아찌를 만들면 그 맛이 무어라 표현할 수 없는 맛이 나며 잎은 간장이나 소금에 절여 양념하여 먹기도 하며 밥 위에 쪄서 쌈을 싸서 먹기도 한다. 가죽나물의 강한 향은 어린 시절의 맛과 향, 그리운 추억이 되살아나게…
환경부는 5월 12일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멧돼지 발생건수가 612건을 넘어섰다. ASF 양성 야생멧돼지가 경기 파주·연천, 강원 철원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다가 최근 들어 양구, 고성까지 확산되며, 어디까지 확산될 지 양돈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ASF 방역의 성공 여부는 야생멧돼지 퇴…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있다. 이태원클럽에서 시작한 집단감염으로 시작한 것이 없어지지 않고 5차 감염, 6차 감염으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코로나19가 곳곳에 퍼지는 느낌이다. 계속 퍼져나가는 중이다. 증세가 없이 전염이 되기 때문에 퍼져나가는 것을 알아내어 막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젊은 사람들…
사찰음식을 이해하는 데는 종합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사찰음식은 공양주 채공 갱두 다각이라는 여러 소임의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종합 밥상이다. 채식위주의 식단보고 사찰음식이라고 하지만, 텃밭에서 가꾼 채소류와 산에서 나는 산나물, 나무에서 얻어지는 버섯, 밭에서 나는 콩이 식재료가 되고, 쌀과 보…
지난해 9월 16일 경기 파주 소재 돼지농장에서 첫 ASF 발생이후 강화, 김포, 연천, 철원 등 경기, 강원 북부지역 농가 260여 농가 돼지 44만두를 (예방적)살처분하는 피해를 입은 이후 8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농장에서 ASF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야생멧돼지 발생을 이유로 돼지 입식을 불허함…
코로나19로 전 세계의 사람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사회라는 공동체에서 떠나 단순이 사람을 만나지 않고 개인생활을 해야 하는 어려움 속에 생활수칙을 지키며 악몽 속에 겨우 잠잠해질 무렵 신천지라는 종교집단에서 코로나가 단체로 걸리고, 그 여파가 회오리를 일으키고 지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