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꽃게, 참홍어 자원회복 방안 모색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손재학)은 서해수산연구소는 5일 인천 소재 베스트웨스턴호텔에서 서해 해역과학위원회를 개최해 꽃게와 참홍어 자원의 회복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과학위원회는 ▲꽃게 금어기 조정 ▲참홍어 총허용어획량(TAC) 확대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꽃게의 자원회복을 위해 현재 지난 6월 15일에서 오는 8월 15일까지로(백령·연평해역은 7월 1일 ~ 8월 31일) 설정된 금어기 변경이 요구됐다.
 
이에 과학위원회는 꽃게 금어기를 6월부터 9월까지 중 2개월로 설정하기 위한 조사 방법 등을 논의하고, 이후 조사된 결과를 토대로 내년 초 농림수산식품부 고시로 확정할 예정이다.
 
참홍어 TAC 대상어업 허용량은 흑산도의 근해연승어업과 대청도의 근해연승어업 및 연안복합어업에 200t으로 설정돼 있다.
 
그런데 참홍어는 연간 어획량(300~400t) 중 20~48%가 쌍끌이기선저인망어업에서 어획되므로 쌍끌이 어업에도 TAC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권대현 박사는 “이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정부 및 관련 단체에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권고안을 제시하고, 수산자원회복을 위한 연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