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로 뻗어나가는 우리 식품

국내경기 침체, 식품업체들 해외로 눈돌려

올해는 식품업체들이 해외사업에 전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올해 내수경기 전망이 어둡고 지난해 월드컵 개최로 해외에서의 국산품의 인지도가 높아진 데다 돌파구를 찾고 있는 것이다.
농심은 올해 6천만달러의 수출을 목표하고 있다. 지난해 실적이 전년보다 100만달러 많은 5천200만달러였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는 수출목표를 의욕적으로 늘려 잡은 셈이다. 농심은 이를 위해 올해 특히 중국 시장을 집중 공략할 방침이며 올 하반기에 미국 LA에 라면 공장도 지을 예정이다.

동양제과는 올해 지난해보다 11% 늘어난 3천만달러의 수출을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 중국, 베트남 식품시장을 집중 공략하며 중국에서 가동 중인 쵸코파이 현지공장(오리온식품유한공사)의 영업도 대폭강화키로 했다.
오리온식품유한공사의 올해 매출은 5천만달러로 지난해보다 42.8%나 높다.
수출과 현지법인을 합쳐 동양제과의 올해 해외 부문 매출목표는 1억달러다.

대상은 올해 핵산, 장류, 클로렐라 등의 수출목표를 지난해보다 28% 늘어난 1억2천800만달러로 잡았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현지법인 2곳의 매출도 지난해보다 12% 많은 2억8천만달러로 책정했다. 이 회사는 2005년까지 중국 저장성 일대에 연산 2천t 규모의 현지 핵산 생산공장도 세울 계획이다.

중국 현지 3개 공장의 가동률을 높이고 현지인을 겨냥한 제품광고와 이벤트를 강화해 올해 중국 현지매출을 지난해(2천400만달러)보다 배 가까운 4천만달러까지 높일 계획이다.

한국야쿠르트도 올해 수출목표를 지난해보다 500만달러 많은 6천만달러로 책정하고 연말쯤에는 러시아 지역에 도시락 라면공장 건설도 추진키로 했다.

풀무원은 미국 현지법인인 풀무원USA를 통해 올해 지난해보다 66.6% 늘어난 1천만달러의 매출을 목표하고 있다. 지난 1995년 미국 LA에 설립한 현지공장에 이어 지난해 설립한 뉴욕과 LA 두부공장이 올해부터 본격궤도에 올라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태제과식품(주)는 올 수출을 지난해보다 14% 증가한 340만달러로 잡고 있다.
초콜릿, 과자 프랜 등 10대 수출전략 상품을 집중 육성하고 수출선도 배 이상 확충하기로 했다.

이 외에 롯데제과, 매일유업, 빙그레도 올해 해외 현지법인의 매출 비중을 높이거나 수출목표를 20~30%씩 올려 잡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식품업체들이 내수경기 위축을 타개하기 위해 수요가 무한대인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며 “국내 식품업체들의 다국적화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