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MO논란 안전장치 마련해야

국내 전분당의 90%이상의 물량을 수급하는 소위 전분당 4사가 GMO옥수수를 수입키로 전격 결정함에 따라 우리 식탁이 어쩔 수 없이 GMO에 잠식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그동안 GMO논란이 없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이번 수입 결정이 과자, 음료수, 빙과 등 우리들이 즐겨먹는 모든 가공식품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이같은 발표가 나자 시민단체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안전성도 입증되지 않은 마당에서 GMO 식품을 수입한다는 것 자체가 용납이 안된다는 투다. 이에대해 업체들은 곡물가 급상승에 수급부족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수입해야 한다며 맞불을 놓고 있다.

그러나 객관적 입장에서 볼 때 누가 옳고 그르다고 말할 처지가 못돼 안타까울 따름이다. 또한 정부도 '해라 마라' 할 처지가 못된다. 이에따라 가장 최선의 방법은 소비자에게 맡기는 것이다. 대신 소비자가 확실히 선택할 수 있게 정부는 GMO표시제를 한층 강화해 뒷말이 없게 해야 한다. 어쩔수 없다고만 말할 것이 아니라 지금이라도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