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은 17일 한국일보의 ‘국민연금 낯뜨거운 포상파티, 기사송고실까지 폐쇄한 식약청이 갑자기 언론과의 이해증진을 명분으로 협의회를 왜 추진하는지 알 수 없다’는 보도에 대해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과는 전혀 무관한 사항이라고 밝혔다.
서울식약청은 외부전문가의 의견수렴과 자문을 구하고, 일반국민과는 식품·의약품 등 안전성 정보에 관한 쌍방향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11일부터 ‘홍보대책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협의체 위원구성은 내·외부의원 총 10명(실무직원 10명 별도)으로 외부위원은 4명을 위촉하되 기자는 2명(일간지, 전문지)이고 나머지 위원은 식품 및 의약품 전문가로 구성됐다.
현재 내부직원 중심으로 매주 1회(총 3회) 회의를 개최하고,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전체회의는 10월 중 개최할 예정이다.
서울식약청은 또 지난 5월 16일 ‘고객만족도 향상 5대과제’를 수립하는 등 식품 및 의약품 등의 안전성 확보 및 더 나은 대 고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