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GMO 안전지대 아니다"

시민단체 "국민 알권리 위해 전면적인 제도개선 필요"주장

지난 3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유전자 조작된 옥수수인 Bt10이 미국에서 수년간 재배되어 왔음이 밝혀지면서 이 옥수수가 국내로 유입되었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만을 취해 다른 생물체에 삽입하여 만들어진 유전자조작식물은 세계 식량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식량증산에 한계를 느껴 식량자원의 품종개량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가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유전자조작식물은 인류가 그동안 전혀 섭취하지 못했던 것이기 때문에 이전의 검증된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꾸준히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환경운동연합 오유신 간사는 "지난 3월 매스컴을 장식했던 문제가 된 옥수수 Bt10은 이를 개발한 미국의 신젠타사마저 아직 검증이 되지 않아 포기한 작물"이라며 "이런 Bt10이 5년간 미국정부도 모르는 사이 5년간 재배되어 왔다는 것은 너무도 심각하며, 분명 국내에도 많은 양이 수입되어 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욱 심각한 사실은 안전성이 확보되어 수입되고 있는 옥수수 Bt11과 문제가 된 Bt10이 혼합되어 가공되면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는 것으로 국내에도 시판되고 있을지 모른다"라고 경고했다.

유럽의 경우 추적시스템이라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어 만약 가공식품에 문제가 된 유전자변형식물이 섞여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모든 제품을 회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유전자조작식물을 원료로 가공한 가공식품을 시중에 유통시키면 표시기준의 법이 없기 때문에 제품을 출처를 알지 못하고 문제가 되도 회수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유전자조작반대 생명운동연대 김은진 사무국장은 "미국 옥수수 총생산량 중 45%가 유전자조작식물 옥수수로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옥수수 440만 톤(농림부 추정)을 수입하고 있고 그중 식용과 가공 사료를 합한 양이 적어도 200만 톤 이상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금은 유전자조작식물을 생산하는 회사에서 안전성을 검사한 자료 문서를 받아 식약청에서 제출하면 통과가 되는 제도이지만 이제는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GMO를 검사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 대두(콩)의 경우도 유전자조작식물이 무려 50%에 육박하고 있어, 그 중에 검증되지 않는 유전자조작식품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가능성 또한 배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시민단체와 환경운동연합은 비의도적 혼입율을 최대한 낮추는 것만이 GMO의 위험에서 국민들을 해방시키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지금 한국의 경우 비의도적 혼입율이 대부분의 나라보다 높은 수치인 3%에 이르고 있는데, 이에 대해 오 간사는 "유럽을 비롯해 브라질, 러시아, 중국 등 모든 나라가 비의도적 혼입율 하양 조정을 통해서 국민들을 보호하고 있는 마당에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식약청은 뒷짐만 지고 국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라며 "비의도적 혼입율을 하양 조정해달라고 몇 년째 식약청에 건의했지만, 식약청은 5년째 검토하겠다고 앵무새처럼 되풀이 하고 있다"라고 식약청의 무성의한 태도를 비판 했다.

이에 식약청 관계자는 "검증되지 않는 GMO가 국내에 유통될 가능성은 극히 적으며, 2002년 6월부터는 옥수수가 수입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소비자단체와 환경운동연합 등이 요구하는 가공식품 표시기준법을 추적이 가능하게끔 하는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황순국 기자/hope@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