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부산·인천 중금속 오염 심각

환경부 다른 광역단체보다 최고 10배 높아

항구도시 부산과 인천의 중금속 오염도가 전국 16개 광역단체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토양측정망 운영지점인 전국 4천500곳의 토양오염 실태를 조사해 평균치를 낸 결과 부산과 인천의 중금속 오염도가 다른 광역단체에 비해 최고 10배정도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 중금속인 구리의 오염도는 부산이 14.7㎎/㎏으로 가장 높은 가운데 인천(13.4㎎/㎏)과 서울(10.5㎎/㎏)이 뒤를 이었으며 다음은 경기(7.3㎎/㎏) 경남(6.4㎎/㎏) 대구(6.1㎎/㎏) 울산(5.9㎎/㎏) 등의 순이었다.

구리 오염도가 가장 낮은 곳은 제주로 2.1㎎/㎏에 불과했고 광주도 2.5㎎/㎏에 그쳤다.

납 오염도 역시 부산이 1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서울(15.1㎎/㎏) 인천(12.5㎎/㎏) 대구(9.6㎎/㎏) 경남(8.7㎎/㎏) 경기(6.8㎎/㎏) 등의 순이었다.

납 오염도가 가장 덜한 곳은 제주(1.5㎎/㎏)였으며 부산과 서울의 납 오염도는 제주의 무려 10배를 넘었다.

카드뮴 오염도도 마찬가지로 부산과 인천이 0.43㎎/㎏과 0.37㎎/㎏로 각각 1~2위의 불명예를 차지했으며 경남(0.19㎎/㎏) 울산(0.18㎎/㎏) 서울(0.16㎎/㎏) 등이 뒤를 따랐다.

수은의 경우 의외로 경남과 경기의 오염도가 0.2㎎/㎏와 0.15㎎/㎏로 가장 높은 가운데 서울(0.1㎎/㎏)과 부산 인천(각각 0.07㎎/㎏)도 심각한 편에 속했다.

한편 환경부는 전국의 토양오염 실태와 추세를 연도별로 파악해 토양보전 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기 위해 지난 87년부터 토양측정망을 운영중이다.

87년 당시 250개 지점에서 격년으로 실시된 토양측정망은 현재 전국망 1천500개와 지역망 3천개 등 4천500개 지점에서 전국망은 12개, 지역망은 11개 항목에 대해 매년 오염도를 측정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4천500개의 측정망 가운데 전국망 2개와 지역망 18개 등 20개 지점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했으며 환경부는 이 가운데 17개에 대해 정밀조사를 실시했고 나머지 3개는 올해 조사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전국의 토양 오염도는 2000년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약간 높게 나타났고 토양의 산도(pH)는 6.4로 자연토양의 산도 5.7과 유사한 중성에 해당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