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품관리처 신설 원한다”

본지 설문조사결과 업계 68% 찬성
‘특정부처 일원화는 식약청으로’ 72%
식품산업 가장 큰 문제점은 ‘정부의 육성책 부족’


식품업계 종사자들의 대부분은 식품행정체계 개편과 관련해 총리 산하에 장관급 식품전담부처 신설을 통한 일원화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식품업계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정부의 산업육성 지원 부족과 식품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부족을 꼽았다.

이는 본지가 지난 11월 1일부터 4일까지 식품업계에 종사하는 업체 관계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식품업계 종사자들은 식품전담부처 ‘(가칭)식품관리처’의 신설을 통한 행정체계 일원화 방안에 대한 질문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 200명 가운데 68%인 135명으로 ‘반대한다’는 의견(20%, 40명)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전담부처의 신설을 반대하는 응답자 중에서는
‘특정부처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67%로 ‘지금 이대로 둬야 한다’는 의견(22%)보다 우세했으며, 특정부처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응답자 중에서는 ‘식약청으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72%, 보건복지부 14%, 기타 14%로 각각 나타났다.

또 총리 산하의 ‘식품관리처’를 신설할 경우 또는 현재 식약청의 기능 중 의약품안전관리는 보건복지부로 이관하고 식품에 관한 정책만 다루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질문에는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78%(155명)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15%, 30명)보다 월등히 우세했다.

식품의 안전관리와 산업육성 정책을 특정 부처에서 통합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는 ‘통합관리해야 한다’는 응답자(78%, 155명)가 ‘분리관리해야 한다’는 응답자(22%, 45명)보다 훨씬 많았다.

끝으로 식품업계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정부의 산업육성 지원부족’이 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식품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부족’(25%), 업체의 영세성 및 취약성(18%)’의 순으로 나타나 정부의 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병조 편집국장/bjkim@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