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문정림 "1년 이상 못받은 연금 보험료, 약 4조 6000억원"

"체납보험료 분할납부 법근거 마련해 장기체납자 제도권 진입 유도해야"

올해 국민연금을 1년 이상 내지 않은 가입자가 약 1백 30만 세대에 이르고 걷히지 않은 장기체납액이 약 4조 6000억원에 달하는 등 국민연금의  장기체납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문정림 새누리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3개월 이상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은 가입자는 1백 31만 5000세대에 이르고 그 체납액은 4조 6549억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25개월 이상 체납한 가입자는 940세대, 체납액은 3조 6348억원이었다.


2012년 기준, 장기체납자는 106만 1000명이다. 이는 국민연금 적용대상자의 5.33%이며 공적연금 적용사각지대의 6.17%에 해당한다.


문 의원은 "이들은 국민연금 장기 체납으로 연금의 재정건전성을 약화시키고 연금 사각지대를 늘리는 등 공적연금제도 전반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어 장기체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건강보험의 경우, 국민건강보험법 제82조(체납보험료의 분할납부)에 따라, 보험료를 3회 이상 체납한 자에게 보험료를 분할 납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0년 이후 분할 납부를 신청한 건수는 246만 3632건에 이르고 신청금액은 2조 9288억 2300만원에 달한다.


문 의원은 “한국은 지난 2000년 노인비율이 7%를 돌파하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2019년과 2026년에는 각각 고령사회(UN기준 14%)와 초고령사회(UN기준 20%)로 진입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노인 가구의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장기체납으로 인해 국민연금의 사각지대로 추락하는 노인의 없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체납자에게 체납보험료를 분할하여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법 근거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법 근거 마련으로 징수기관의 적극적 행정을 유도해 연금보험료 징수율을 개선하고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국민연금체납분의 분할납부는 국민건강보험의 분할납부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사회보험 통합징수업무의 통일성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