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상베스트코 말로만 '상생'

"저희가 비싸다면 한달치 그냥..."무차별 영업
지역 중소상인 "동반성장·상생 별나라 얘기"

지역 중소상인들과 '상생'을 외치던 대상그룹의 식자재유통 계열사 대상베스트코(대표 이원석)가 무차별적인 최저가 마케팅을 펼쳐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울산.부산 지역에는 "지금 물건 쓰시는 곳 보다 저희가 비싸다면 한달치 물건 그냥 드리겠습니다"라는 제목의 홍보 전단지가 나돌며 중소상인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 전단지에는 "저희는 청정원의 모기업 대상이라는 기업에서 한식, 일식, 양식, 중식, 주류 업체들에 공산품, 식자재과 같은 식자재 유통(배송)을 전문으로 하는 '대상 베스트코(주)'라고 합니다." "이렇게 사장님께 편지로 인사를 드리게 되는 점은 사장님이 받으시는 업체와의 가격 비교를 부탁 드리고자 글을 적게 됐습니다. 자신하는데 저희가 훨씬 저렴하다고 강력히 자신합니다."라고 적혀있다.

 


범정부 차원에서 동반성장과 상생을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대상베스트코의 무차별 최저가 마케팅으로 인해 중소상인들의 설 자리는 더 좁아지고 상생과는 거리가 먼 것 같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대상베스트코의 무리한 영업 마케팅에 지역 중소상인들은 반발하고 있다. 매출 올리기에 혈안이 돼 지역 중소상인들과 맺은 상생협약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것이다.


부산지역에서 식자재업을 10여년 동안 해온 A업체 대표는 "이 전단지는 옛날부터 나돌았다"며 "대상베스트코 내 지점끼리도 매출 실적때문에 싸움이 붙는 상황인 것으로 안다. 지점장들이 매출을 위해 변칙을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매가격보다 싼 가격으로 식재료를 납품하는데 중소유통업체들은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며 "막대한 자본력으로 상당수 식자재를 마진 없이 납품하고 지역업체를 교묘한 방법으로 인수해 부도덕한 행위까지 일삼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잠식 당하는 속도가 너무 빠르다"며 "내년에는 더 본격화 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대상베스트코 동반성장추진팀 관계자는 "회사지침과 상관없이 영업사원이 실수해 시정조치를 했다"며 "상식적으로 맞지 않은 행위를 했다"고 무리수가 있었음을 인정하면서도 이번 사안이 중소상인들에게 피해를 줄 만한 일은 아니라는 안이한 생각을 갖고 있었다.


이어 "사업 초기 오해로 인해 갈등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부분 해소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역 중소상인의 말은 달랐다.


부산지역 B식자재업체 대표는 "서류상으로는 어떻게 합의가 됐을지 몰라도 실제 시장 상황은 전혀 다르다"며 "납품 할 곳이 없어 영세식자재 업체들은 거의 문을 닫았다"고 울분을 토로했다.


이어 "당장 먹고는 살아야 하니 운영은 하고 있지만 앞으로 답이 없다"며 "동반성장이니 상생이니 정부의 방침도 우리에겐 별나라 얘기일 뿐"라고 말했다.


아울러 "작년부터 모임도 갖고 시위도 해보고 대상베스트코 본사도 방문하는 등 많이 움직였지만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며 "아무리해도 안되니까 상인들이 많이 지쳐있다. 한 마디로 계란으로 바위치기인 셈"이라고 안타까운 현실을 전했다.


한편, 대상은 지난 2010년 대전 오정동 매장을 시작으로 대상베스트코를 설립한 뒤 안양, 대전, 인천, 청주, 원주, 부산 등에서 해당 지역 상위 식자재 유통업체를 100% 인수하면서 식자재 도매업에 진입했다. 대상은 베스트코 지분의 70%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에 22개의 지사를 두고 있다.


골목상권 죽이기라는 뭇매를 맞으면서도 대상이 베스트코 사업에 매진하는 이유는 시장 성장 잠재성이 크기 때문이다.


농협경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2012년 기준 국내 식자재 산업 규모는 약 96.9조원으로 추정되며 2005년 이후 연평균 16.4%씩 성장하고 있다. 가정용 식자재 54.9조원, 외식용 식자재 21조원, 식품 제조사 원료용 식자재 18.6조원, 단체급식용 식자재 2.3조원 등으로 추정된다.


식자재 유통 시장은 약 100조원에 가까운 시장규모에도 불구하고 낙후한 유통구조와 대기업의 비중이 10%밖에 안 되는 미개척 분야로 이른바 블루오션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무분별한 대기업의 진출로 중소상인들과의 갈등이 지속되는 만큼 문제해결을 위해 실질적인 대안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서는 대기업 진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법률 개정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