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박주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국정감사에서 화장품 인체적용시험기관(임상시험기관)에 대한 관리 부재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주영 개혁신당 의원은 “식약처의 공식 지정 없이 민간협의회 소속 기관들이 자체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연구윤리 위반과 시험 조작, 피험자 안전 미보장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현재 한국인체적용시험기관협의회 소속 기관이 약 30곳에 달하지만 보건복지부나 식약처 모두 관리·감독 권한이 없다”며 “자외선 차단제 시험 시 인체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거나, 한 피험자가 얼굴 여러 부위에 다중시험을 반복하는 등 비윤리적·비과학적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기관은 ‘식약처 지정기관’인 것처럼 표시해 광고하고 있다”며 “소비자는 이를 공인 인증으로 오인해 신뢰하게 되고, 그 결과 식약처의 권위마저 훼손되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시험기관의 부작용 발생 사례가 늘고 있지만 현행 제도상 처벌은 책임판매업자에 한정돼 있다”며 “임상기관이 동일한 방식으로 영업을 계속하는 구조적 허점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송성옥 청장)은 관내 화장품 제조 및 책임판매업체의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CGMP)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17일 광주지방식약청 1층 대강당에서 화장품 CGMP-Circle 협의체의 제1차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협의체 회의의 주요 내용은 ▲화장품 CGMP 관련 사례 공유 ▲화장품 임상시험 및 관련 ISO 개정 사항 등 ▲표시 및 광고 등 법령 주요 위반사항 등을 안내한다. 송성옥 광주지방청장은 “이번 화장품 CGMP-Circle 협의체 회의가 화장품의 제조·품질관리 규정에 대한 관내 업계의 이해도와 유통 화장품의 품질·안전관리 수준을 높이는 것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광주식약청은 앞으로도 관내 업체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품질이 확보된 화장품이 국민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