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이디야커피가 ‘이디야커피랩 아이스 아메리카노 PET 1L’(이하 아이스 아메리카노 1L)를 출시하며 프리미엄 RTD(Ready To Drink) 커피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디야커피는 세계적인 커피 대회 WCIGS(World Coffee In Good Spirits) 챔피언 바리스타와 함께 개발한 황금 비율 레시피를 적용해 깊고 균형 잡힌 풍미를 구현했다. 제품에 사용한 원두는 이디야커피의 자체 커피 연구소인 '이디야커피랩'에서 엄선한 프리미엄 생두다. 생두 선별부터 로스팅까지 전 과정은 100% 자체 기술력으로 완성됐으며, 자사 생산 시설인 드림팩토리에서 로스팅해 원두 고유의 풍미를 극대화했다. 추출 방식은 드립과 에스프레소를 결합한 듀얼 추출 공법을 적용해 진하면서도 부드러운 밸런스를 구현했다. 특히, 탄자니아·브라질 드립 추출액 50%와 콜롬비아 에스프레소 추출액을 조화롭게 배합해 깊고 풍부한 맛을 완성했다. 이번 ‘이디야커피랩 아이스 아메리카노 1L’는 쿠팡, 비마트 등 주요 온라인 채널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디야커피 관계자는 “이디야커피랩에서만 즐길 수 있던 프리미엄 커피를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며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이디야커피(대표이사 문창기)가 다가오는 한가위를 맞아 이디야 시그니처 추석 선물세트 3종을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선물세트는 커피세트와 티세트 이원화 구성, 그리고 실용성을 높인 전용 머그 MD를 더해 시그니처 스틱커피 선물세트, 시그니처 라떼&밀크티 선물세트, 시그니처 버라이어티(TEA) 선물세트 총 3종으로 마련됐다. 시그니처 스틱커피 선물세트는 대표 아메리카노 스틱 4종(오리지널, 마일드, 스페셜, 디카페인)과 믹스커피 스틱 4종(골드블렌드, 모카블렌드, 헤이즐넛, 클래식)으로 구성됐고, 특허받은 복합 블렌딩과 전문 R&D의 노하우가 담겨 있어, 다양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으며 시그니처 라떼&밀크티 선물세트’는 라떼3종(카페라떼, 바닐라라떼, 토피넛라떼)과 밀크티 2종(오리지널, 토피넛) 그리고 스텐 머그 MD잔으로 실용적인 스테인리스 머그잔에 라떼와 밀크티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그니처 버라이어티(TEA) 선물세트는 차 종류들로 구성된 선물세트로 비타민 차 2종(제주 비타민 한라봉차, 고흥 비타민 유자차)과 전통차 2종(호두&아몬드 율무차, 대추&생강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글로벌 대표 커피 비즈니스 플랫폼 제24회 서울카페쇼(이하 서울카페쇼)가 오는 11월 19일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하기 앞서 공식 홍보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올해 서울카페쇼가 선정한 주제인 한 잔에 담긴, 더 큰 커피 세상은 커피 한잔으로 전 세계 산지부터 카페,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산업의 무한한 가능성과 문화적 확장, 연결에 대한 의미를 담았고, 홍보 영상은 커피 한 잔이 새로운 연결을 만들고 다양한 문화를 탄생시킬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존재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특히 서울카페쇼가 불확실성의 시대를 사는 소비자들에게 커피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새로운 확장성과 다가올 앞으로의 커피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특별한 전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담고 있다. 전세계를 이끌어 나갈 새로운 커피 트렌드를 미리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마련될 이번 서울카페쇼는 큐레이션을 통해 엄선한 글로벌 로스터리 카페 셀렉션 프로그램인 커피앨리와 미식 경험의 설계자들을 주제로 한 업계 오피니언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을 통해 다양한 커피관련 산업 트렌드를 미리 만나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서울 도심 곳곳에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말레이시아 커피 시장이 인스턴트 커피 중심에서 프리미엄 원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홈카페 문화가 확산되면서 고품질 커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온라인을 통한 구매 트렌드도 확대되고 있다. 한국 커피 수출기업은 현지화된 프리미엄 제품 개발과 유통채널 전략이 요구된다.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유로모니터(Euromonitor)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커피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5억 1,600만 달러 규모이며, 2025년에는 5억 4,700만 달러, 2028년까지는 연평균 5.3% 성장해 6억 3,3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 커피 소비는 여전히 저렴한 인스턴트 커피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프리미엄 원두커피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등 주요 생산국의 수확량 감소로 원두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고품질 커피에 대한 소비자 관심은 오히려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팬데믹을 계기로 정착된 홈카페 문화도 프리미엄 커피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현지 소비자들은 카페 대신 가정에서 직접 커피를 내려 마시며, 신선한 원두를 갈아 사용하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2025 서울커피엑스포(Coffee Expo Seoul 2025)와 한국국제베이커리페어(Korea International Bakery Fair)가 커피와 베이커리 산업의 협업을 통한 가능성을 확인하며 지난 4일 간의 일정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코엑스(사장 조상현)가 한국커피연합회(회장 송창윤), 대한제과협회(회장 마옥천), 한국제과기능장협회(회장 이석원)와 협업하여 진행된 이번 전시는 총 331개사의 939개 부스가 참가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 가운데 커피와 베이커리를 사랑하는 일반 관람객은 물론, 업계 종사자와 바이어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며 총 7만 7천여 명의 방문객을 기록했다. 올해로 14회째를 맞이하는 서울커피엑스포는 ‘Coffee for Better Tomorrow’를 주제로 글로벌 커피 트렌드와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며 커피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폭넓은 전시 콘텐츠를 선보였고, 주빈국 온두라스가 자국 커피 농가의 고품질 아라비카 커피와 스페셜 게스트 정형용 바리스타의 브루잉 세션과 커핑 세션도 함께 진행해 온두라스 커피의 깊은 맛과 향을 선보이며 참관객들의 호응을 이끌었다. 동아시아 인기 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