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성분)과 자폐증 발병 가능성의 연관성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자 식약처가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3일 “미국 정부의 타이레놀 관련 발표에 대해 해당 업체에 의견과 자료 제출을 요청하고, 관련 근거를 면밀히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타이레놀을 임산부가 복용하면 태아의 자폐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발언했다. 그는 “FDA는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을 제한하도록 의사들에게 권고할 것”이라며 “고열 등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최소한만 복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FDA는 같은 날 홈페이지에 임신부의 아세트아미노펜 사용과 자폐증·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 신경 발달장애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반영하기 위해 타이레놀 등 관련 제품의 라벨 변경 절차를 개시했다고 공지했다. 다만 FDA는 “복용 여부는 부모의 선택에 달려 있으며,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타이레놀은 그간 임산부에게 비교적 안전한 해열진통제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2019년 존스홉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영상 노태영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 오유경 처장은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제조·수입업체와 종근당(충남 천안 소재)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에서 국민 누구라도 필요한 시기에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의약품 등 감기약을 불편 없이 구입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그간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의약품 등 감기약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약가 인상, 행정지원 등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 중으로, 이번 간담회는 최근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의약품 등의 수요 증가를 대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지원책을 선제적으로 모색하고자 마련했다. 간담회에는 식약처가 지난해 12월 위기 대응 의료제품으로 지정하고 긴급 생산·수입 명령 조치한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650mg)의 제조·수입 확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9개 업체 대표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업체들은 ▲안정적인 원료의약품 수급을 위해 주성분 제조원 추가 등 변경허가, 원료의약품 등록 등 행정절차의 신속한 처리 ▲‘주성분 제조원 변경 시 제출자료의 범위 완화’ 등 정부가 추진 중인 규제개선 사안의 선(先)적용 등의 지원을 요청했다. 오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