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롯데웰푸드는 11월 11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파더 더피 스퀘어(Father Duffy Square)에서 ‘웰컴 투 K-스위트 홀리데이’ 페스티벌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의 기념일을 넘어 글로벌 나눔 문화로 확장되고 있는 ‘빼빼로데이’를 전 세계 소비자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기획한 행사다. 현장은 영하의 날씨임에도 수만 명의 방문객이 몰리며 빼빼로 브랜드와 한국의 빼빼로데이에 대한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올해 빼빼로 글로벌 통합 마케팅의 핵심 메시지는 ‘Show your love with Pepero(빼빼로로 사랑을 나누세요)’다. 이번 행사는 사랑, 우정, 감사의 마음을 빼빼로에 담아 전하는 한국의 나눔 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현장에는 브랜드 글로벌 앰배서더인 아이돌 그룹 ‘스트레이 키즈(Stray Kids)’와 함께 한 비주얼 콘텐츠를 곳곳에 배치해 글로벌 팬층과의 접점을 확대했다. 행사장에서는 제품 시식, 이벤트, 공연 등이 다양하게 진행됐다. 샘플링 존에서는 빼빼로 제품과, 빼빼로데이의 역사를 담은 리플렛을 증정했다. 또, 약 2m 높이의 대형 빼빼로 패키지 조형물과 스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빙그레가 아이스크림값 담합 행위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388억원대 과징금이 부당하다며 낸 소송에서 최종 패소했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빙그레가 제기한 과징금 부과 처분 취소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한 원심 판결을 지난달 16일 확정했다. 공정위는 빙그레와 롯데지주·롯데제과·롯데푸드·해태제과식품이 가격 담합을 해온 사실을 적발해 2022년 2월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1천350억원을 부과했다. 이들이 2016년 2월∼2019년 10월 아이스크림 판매·납품 가격 및 소매점 거래처 분할 등을 합의해 실행에 옮겼다는 게 공정위 조사 결과다. 상대방 소매점 거래처에 대한 영업을 금지하거나 소매점에 대한 지원율 상한을 제한하고, 편의점 마진율을 인하하거나 직접 납품 가격을 올리는 방식으로 담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과징금 388억원을 부과받은 빙그레는 처분에 불복해 그해 3월 소송을 냈다. 그러나 서울고법은 지난 3월 "피고가 원고의 공동행위를 '중대한 위반행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 (관련 매출액 대비) 5% 부과기준율을 적용한 것에 위법이 없다"며 빙그레의 청구를 기각했다. 재판부는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가 ‘롯데 블루베리껌’을 13년만에 재출시했다. 1983년 출시, 2011년까지 판매된 이 제품은 1982년 일본 우라베 타츠히로(浦部 達弘) 연구원이 향을 상상해서 만든 제품이다. 블루베리가 흔하지 않던 발매 당시 블루베리 껌 향기가 실제 블루베리 향기로 인식되기도 했다. 롯데제과는 내용물보다 패키지를 신경썼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외부 패키지는 1983년 최초 도입 당시의 디자인을 복원해 적용했다. 반면 내부의 낱개 포장지는 젊은 세대가 선호할만한 감각적인 디자인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당시를 기억하는 소비자에게는 반가움을, 처음 접하는 MZ세대 소비자에게는 상상으로 만들어진 블루베리 향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을 자극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과즙의 함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출시되는 블루베리껌에는 블루베리 농축액 0.1%가 함유됐다. 롯데제과는 이 제품을 여러번 리뉴얼해왔다. 과즙함량 0.5%인 제품에서 8%까지 끌어올렸다. 하지만 이번 출시된 제품은 농축액이 0.1%에 불과하다. 과즙은 과일 원물을 그대로 즙을 내고 농축액은 과즙을 농축했다는 데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문제는 0.1%의 농축액을 사용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는 밀가루에 거부감이 있는 소비자들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글루텐프리(gluten free)’ 쌀 간식 ‘더쌀로 사르르 고소한새우맛’을 출시했다. ‘더쌀로 사르르 고소한새우맛’은 ‘건강한 쌀로 만든 스낵’에 콘셉트에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 고운 입자의 쌀가루로 만들어 바삭하면서 입안에서 사르르 녹는 식감을 구현했다. 쌀 스낵 특유의 고소함과 새우의 고소하면서 짭짤한 맛이 조화를 이룬다. 한국 글루텐프리 인증(KGFC) 획득으로 밀가루에 민감한 사람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영양성분이 풍부한 쌀눈이 포함된 미강을 활용한 천연유화안정제를 적용하여 사르르한 식감을 구현했다. 포장지 겉면에도 ‘건강한 쌀로 만든, 라이스 스낵’이라는 문구를 삽입하고, 글루텐프리 인증마크를 삽입해 제품의 특징을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 글루텐프리 인증은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는 글루텐프리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가 제정해 국가기술표준원의 단체표준으로 등록한 제품인증이다. 이 인증은 글루텐프리 식품 시험법, 관리기준에 따라 원료 입고 단계부터 제조공정, 출하까지 전 과정에서 알레르기성 물질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가 제로브랜드를 내세우며 빙과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합병으로 탄생한 롯데웰푸드는 빙과 업계 1위로 올라섰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제로 밀크 모나카 ▲제로 밀크 소프트콘 ▲제로 미니바이트 밀크&초코 등 3종을 선보였다. ‘제로’ 브랜드는 총 8종으로 라인업을 확대됐다. 지난해 5월 출시한 무설탕 디저트 브랜드 '제로' 출시 6개월 만에 매출액 300억원을 달성했다. 누적 매출액은 500억~600억원으로 추정된다. 제로 외에도 '퓨어코코넛', '초콜릿 아몬드바' '그린티&초코넛츠' 등 비건 제품 비중을 늘리며 소비자를 적극 공략하고 있다. 제로 빙과류는 과하게 달지 않고 뒷맛이 깔끔하다는 것이 가장 특징이다. 사측은 브랜드 론칭을 위해 별도의 팀을 구성, 1년여의 연구 기간을 둘 정도로 공을 들였다. 롯데웰푸드는 제과와 푸드 합병 효율화 및 프리미엄 제품군 확장 등으로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사측에 따르면 빙과 부문 매출은 지난해 1분기 1471억4100만원에서 올해 1분기 1824억9100만원으로 24% 가량 늘어났다.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식품업계가 봄 한정 제품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매년 봄을 맞아 출시되는 스타벅스의 '슈크림라떼'가 올해도 판매를 시작했다. 슈크림 라떼는 천연 바닐라 빈을 사용한 슈크림에서 느껴지는 바닐라 특유의 진하면서도 달콤한 풍미와 우유, 에스프레소의 조화를 자랑하는 스타벅스의 봄 시즌 음료다. 대표적인 봄 꽃인 민들레, 개나리 등 봄꽃이 연상되는 노란빛 슈크림이 특징인 슈크림 라떼는 2017년 첫 출시 후, 봄마다 출시하고 있다. 폴바셋은 '제주에서 온 봄' 컨셉으로 100% 제주산 유기농 어린잎으로 만든 제주말차를 활용한 아이스크림 2종과 제주말차 아이스크림 라떼, 제주말차 프라페 등을 내놨다. 빙그레는 효자상품인 바나나맛 우유가 봄꽃 에디션을 출시했다. 단지 모양 용기에 귀여운 표정과 흩날리는 꽃 그래픽을 적용해 봄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디자인한 것이 특징이다. 제과업계도 베리류가 들어간 각종 파이류 출시에 한창이다. 롯데제과는 제철 과일인 딸기를 활용한 봄 시즌 한정판 신제품으로 '카스타드', '몽쉘', '빼빼로', '빈츠'의 딸기맛 4종을 선보였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산리오캐릭터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롯데제과가 사명에서 제과를 떼고 롯데웰푸드로 사명을 변경키로 했다. 사명에서 제과를 떼는 것은 지난 1967년 설립 이후 56년 만이다. 롯데는 지난해 제과와 푸드가 합병, 사명까지 바꾸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롯데칠성음료의 등기이사로 경영 전면에 직접 나선다. 사명 변경 이유는 신동빈 회장의 뜻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전해진다. 제과라는 사명이 롯데푸드의 간편식, 육가공 등의 사업 분야를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롯데제과는 사명 변경의 목적에 대해 "통합법인 출범에 따른 신시장 대응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라고 말했다. 신년사부터 변황와 혁신의 '뉴 롯데'를 강조한 신 회장은 식품사업의 연구개발(R&D) 투자 단계에서부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올해 중앙연구소의 투자 금액을 늘리면서 롯데칠성음료가 그룹 내 식품사업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신 회장이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헬스&월니스'는 롯데의 식음료 계열사 곳곳에 영향을 주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은 음료의 '제로'와 와인과 위스키 등 주류 사업에서도 신세계와 경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편집자 주> 기업, 소비자, 국가까지 모두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전 인류를 덮친 코로나19 대유형이 잠잠해지기가 무섭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장기전으로 돌입했고 튀르기예는 참혹한 지진을 이겨내는 중이다. 세계적인 경제둔화로 여기저기에서 신음소리가 들리고 있다. 오너의 성격과 자질, 상황, 운(運)기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만 인류사처럼 기업사도 일정한 주기가 있다. 이 세상에 없던 것, 혹은 익숙한 것에 혁신을 더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무형적인 것을 구체화시켜 유형적인 것으로 만들어 내야한다는 점에서 한국전쟁 직후나 고도화된 사회는 똑같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무엇보다 실물경제 회복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식품.유통기업으로 우뚝 선 기업의 오너들은 어떻게 회사를 일구어냈을까. 가진 것은 173cm키와 83엔...빈농 아들의 목숨을 건 도전 "기업을 운영한다는 것은 벽돌을 하나씩 쌓아올리듯이 나의 경험을 쌓는다고 생각해. 꾸준하게 천천히 올린다면 누구나 할 수 있어, 그렇지만 목표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매일매일 노력을 반복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야. 내가 스스로 멈추기 전까진 끝내고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롯데제과(대표 이영구) 야심차게 시작했던 아이스크림 구독 사업을 2년 만에 접는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제과가 월 1만 4900원의 구독료를 내면 매월 다른 종류의 아이스크림을 보내주던 '월간 아이스'를 종료한다. 롯데제과는 2021년 사업을 실시할 당시 업계 최초의 서비스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아이스크림을 시작으로 과자와 빵 등 다른 제품까지도 확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힌 바 있다. 롯데제과는 계절에 따라 판매량이 급등이 심한 빙과류 구독만 접을 뿐 과자와 빵 간편식은 운영한다고 밝혔다. 빙과류 1위 업체인 롯데제과가 '월간 아이스'를 접은 이유로 최근 롯데제과의 실적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롯데제과는 지난해 7월 롯데푸드와 합병한 롯데제과가 매출 4조원을 넘게 기록하고 영업이익은 1300억원을 넘어섰지만 사실상 적자의 늪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전년대비 매출액은 11.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6.3% 감소했기 때문이다. 제과·푸드·해외 사업 등 전 부문에서 매출이 늘었지만 원가 부담이 지속된 데다 일회성 합병 비용인 121억 까지 더하면 영업이익은 사실상 '마이너스'다. 이를 위해 롯데제과는 국내 사업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지난해 7월 롯데푸드와 합병한 롯데제과가 매출 4조원을 넘게 기록하고 영업이익은 1300억원을 넘어섰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제과는 지난해 연결기준 실적이 매출액 4조745억원, 영업이익 135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다. 전년대비 매출액은 11.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6.3% 감소했다. 제과·푸드·해외 사업 등 전 부문에서 매출이 늘었지만 원가 부담이 지속된 데다 일회성 합병 비용인 121억 까지 더하면 영업이익은 사실상 '마이너스'다. 제과사업은 매출액 1조7644억원, 영업이익958억원으로 집계됐다. 빼빼로 등 주력 제품의 매출이 신장됐고 캐릭터 빵 신제품 출시로 연간 매출액도 전년 대비 2.1% 늘어났다. 원재료 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2% 증가했다. 인도와 러시아의 해외 매출이 전년대비 50%이상 증가하며, 해외사업 매출액은 7952억원, 영업이익은 434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6.9% 늘어났다. 롯데제과는 조직을 재편하고 합병 시너지를 극대화해 올해는 매출을 최대 6% 더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내 사업에서는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원가 부담은 방어해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