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 기자] 전통 장 생산자와 소비자, 시민단체가 한목소리로 정부의 장류 식품공전 개정안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10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발효 없는 화학장은 간장이 될 수 없다”며 개정안 철회를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대책위가 공동 주최했으며, 간장포럼·녹색소비자연대·한살림연합 등 전국먹거리연대, GMO반대전국행동 등 40여 단체가 참여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지난 8월 장류협동조합 요청을 근거로 간장·된장·메주 등 현행 5종 장류 유형을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식품공전 분류체계 개편 연구사업(2025.3~12)을 통해 ‘장류→조미식품’으로 대분류를 변경하는 안까지 논의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책위는 “장은 발효가 본질인데, 염산으로 대두박을 분해해 3~4일 만에 대량 생산하는 산분해 간장은 발효식품이 아닌 단순 화학조미료”라며 “발효 간장과 동일 분류로 묶을 경우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이 침해된다”고 비판했다. 송옥주 의원은 “한식메주, 한식간장, 한식된장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며 “행정 편의주의가 아닌
[푸드투데이 = 황인선.노태영 기자] 국회가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밀키트 제품의 영양정보 표시를 의무화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업계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이유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밀키트는 Meal(식사)과 Kit(세트)의 합성어로 요리에 필요한 손질된 식재료와 딱 맞는 양의 양념, 조리법을 세트로 구성해 제공하는 제품이다. 조리과정과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식재료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갈수록 시장이 커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국내 밀키트 시장은 2019년 400억원에서 2024년도에 7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영양성분 표시다. 밀키트 시장은 매년 확대되고 있지만 이들 제품은 열량과 나트륨, 탄수화물, 당류, 지방, 트랜스지방,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단백질 등의 영양소 함량을 알 수 없다. 야채, 냉동육, 해산물 등 농축수산물을 포함하고 있는 밀키트는 규격화하기 어려운 재료들로 구성돼 영양성분 의무표시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소와 녹색소비자연대에서 공동 발표한 밀키트 제품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밀키트 10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