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도매시장 중심 구조를 온라인·스마트 유통으로 전환해 가격 불안과 비효율을 해소한다. 2030년까지 온라인 거래 비중을 50%로 확대하고, 스마트 APC 300개소 구축 등 4대 전략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1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공급 불안 등 유통 환경 변화로 농산물의 가격 변동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기존 도매시장 중심의 제도개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이날 농식품부에 따르면 현재의 유통구조를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만족하고, 기후 위기에도 안정적인 디지털 기반 스마트 농산물 유통구조로 대전환하여 가격을 안정화하고 유통 비효율을 해소할 계획으로 주요 목표는 배추·사과 등 핵심 품목의 가격 변동성 50% 완화와 유통비용 10% 절감이며 이를 위해 4대 전략과 12개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주요 내용으로 누구나 플랫폼에서 거래 체결 후 소비지로 직접 배송하는 온라인 거래 중심으로 농산물 유통구조를 재편하고, 지속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시장 거래량이 전체 농산물 거래의 절반이 되도록 하며, 이를 위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 이하 aT)는 오는 10월 12일까지 2025년 농업과 기업 간 상생협력 우수사례 2차 모집을 추진한다. 이번 모집은 농업과 식품·외식기업 간 상생협력으로 이룬 동반성장 사례를 발굴, 홍보를 통해 국내 농식품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지난 7월 진행한 1차 모집에 이어 2차로 추진하고 있으며, 분야는 국민·기관, 농업·기업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국민·기관 분야는 농식품 소비·체험 과정에서 직접 경험했거나 추천하고 싶은 협력사례를, 농업·기업 분야는 상호 협력을 통해 농식품 산업 발전에 기여한 협력사례를 접수받고, 계약재배, 가공식품 개발, 공동마케팅, 수출협력 등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상생협력 사례를 중점 발굴할 계획이다. 접수된 사례는 서류심사를 거쳐 10월 중 5건을 우수사례로 선정할 예정이며, 선정된 기업에는 카드뉴스, 영상, 우수사례집 등을 통해 대국민 홍보활동을 추진하고, 상생협력 인증로고 사용, 차년도 식품외식종합자금 신청 시 가점 부여 등의 혜택도 주어진다. 참여는 안내 포스터에 삽입된 QR코드를 통해 네이버폼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농협(회장 김병원)이 고랭지 무·배추 계약재배 확대로 가격안정을 추진하고 있다. 김원석 농업경제대표이사는 6일 전국 최대 고랭지 무·배추 주산지인 평창, 강릉 등 강원지역 포전을 방문했다. 이날 김원석 대표이사는 최근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고랭지 무·배추 재배현장을 찾아 작황을 살피는 한편, 수급안정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농협은 올해 고랭지 무·배추 가격안정을 위해 산지농협 수급안정사업 물량을 전년도 6만5000t보다 약 36% 증가한 8만9000t(무 3만5000t, 배추 5만4000t)으로 확대해 농업인의 소득과 생산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지난 7월 실시한 고랭지 무·배추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출하물량을 분산하고 채소가격안정제 계약물량을 활용하여 수급조절을 추진하는 등 가격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생육초기 기상재해로 인한 농가소득 불안에 대비해 배추 예비묘 100만주를 생산했으며 피해 발생 농업인에게 즉시 공급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농협 김원석 농업경제대표이사는“농협은 고랭지 무·배추 가격안정을 위해 정부, 지자체, 농업인과 함께 전력을 다하는 동시에, 농가소득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