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농진청, 감귤 부산물로 악취 99%↓·해충 피해 37%↓…친환경 자원순환 기술 개발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감귤즙을 짠 뒤 폐기물 등으로 버려지던 부산물이 친환경 농업 자재로 재탄생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 이하 농진청)은 감귤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감귤 부산물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 7일 농진청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한 해 전체 감귤 생산량의 10% 정도의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 단순 활용돼 왔는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연구진은 산업체, 대학 등과 함께 감귤 부산물 활용 다각화를 목표로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는 악취 저감제와 해충 유인제로, 약 70%를 차지하는 고체 상태의 껍질과 과육는 토양 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한 악취 저감 미생물제는 감귤 부산물 침출수를 살균, 중화한 뒤, 유산균, 고초균, 효모 등 유용 미생물을 배양해 제조하며, 개발한 악취 저감제를 양돈 분뇨 저장조 2곳에 투입한 결과, 주요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각각 91%, 99% 감소함을 확인했고, 기존 유용 미생물 처리 때와 비슷한 수준이나, 감귤 부산물을 활용하면 많은 양의 침출수(탈리액)에 미생물을 배양, 악취 저감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