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영업자들이 롯데 제품과 대형유통점 불매운동을 시작했다. 자영업자 측은 80여개 직능 단체와 소상공인 단체, 시민단체 회원까지 포함해 200만명 가량이 불매운동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단체가 내세운 불매운동의 명분은 한국체인스토어협회가 자영업자와의 상생 방안을 요청했는데 들어주지 않았다는 것.
자영업자들이 집단행동까지 벌이게 된 사정을 충분히 이해가 된다. 그러나 이들의 요구사항이 들어지지 않았다고해서 불매운동을 벌인다는 것은 명분이 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국민들의 의견이 분분했다. 과연 롯데제품·대형유통점 불매운동을 한다고해서 골목상권이 살아나고 소상공인들에게 득이 될지 의문이다.
가장 중요한 쟁점은 대기업이나 자영업자가 아닌 소비자가 제 맘에드는 상품을 자유로이 살수 있어야 한다. 임의로 막는것은 잘못된 행동이다.

한 예로 롯데마트에서 통큰치킨을 내놓왔을때 동네 치킨집들이 분노를 일으켰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통큰치킨을 반겨했다. 특히, 서민들과 주머니가 가벼운 학생들이 무척 좋아 했다. 좋은 제품을 싸게 구입할수 있는데 싫어 할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이 통큰치킨은 얼마안가 철수를 하게 됐다. 싸고 맛좋은 치킨을 판다는데 왜 없애야 하는지 이해가 안간다는 사람도 많았다. 이는 자본주의 국가의 모순된 행동이 아닐 수 없다. 소비자가 대형유통점을 찾는 이유는 편리해서다.
넑은 주차공간과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져 있다. 서비스역시 우수하다. 친절한 직원들이 머리숙여 고객을 맞이한다.
이런 이유로 대형유통점을 찾는 소비자들이 점차 늘어나 전통시장은 점점 죽어가고 있고 대형유통점은 그 주변 지역의 상권을 다 뺏어가면서 정점 커지고 있다.
대형유통사들의 독과점이나 불공정행위로 소상공인들이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합리적이지 않은 명분을 앞세워 불매운동을 한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이렇게 집단행동이 성과를 거두고, 확산된다면 집단 이기주의가 팽배해 질것이며, 결국엔 또 다른 부작용이 생긴다. 이렇듯 자영업자들은 명분없는 불매운동을 할 것이 아니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타협을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