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에스프레소커피점, 시장 재편성여부 논란

'본격 성장기' vs '포화시장 한계'

에스프레소커피전문점 시장에 대한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에스프레소 보급의 선봉장격인 ‘테이크아웃 전문점’에 대한 시장의 성장여부에 초점, 관련업계에서는 이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각 업체들의 시장선점 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에스프레소 시장의 재편성 의견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 시장의 변화도 예고되고 있어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99년 스타벅스가 국내로 진출하면서 형성된 에스프레소 시장은 현재 로즈버드, 후에버, 할리스, 커피빈 등이 대표적인 업체로 약 2천3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중소업체들까지 대거 합류해 난립되고 있는 상태다.

현재 에스프레소를 판매하는 커피점(가맹점+독립점)수는 전국적으로 4천500개 수준, 이중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는 본사가 60개, 가맹점은 1천200개로 추정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과열경쟁으로 시장이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해외 사례를 보자면 충분히 성장가능한 시장이나 국내 사정을 들여다보면 우후죽순으로 난립돼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국내에서는 어떤 업종이 뜨면 그와 관련된 프랜차이즈들이 범랑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이 시장에도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부 관계자들은 에스프레소 시장은 물론 테이크아웃 커피점의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은 이제 막 성장기에 접어들었으며 앞으로 5년 이내에 지금보다 2~3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썬앳푸드는 지난해부터 운영했던 ‘카푸치노 엑스비션’의 사업을 중단했고 파리바게뜨는 이탈리아 커피전문점인 ‘세가프레도’의 국내 사업을 포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