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 급식소 ‘식중독 전문 진단서비스’ 도입

경기도(도지사 김문수)가 학교 등 대형급식소의 식중독 근절 대책을 내놨다.


도는 28일 학교 등 대형급식소를 대상으로 전문가 식품안전 진단서비스를 실시하고 식품안전특구를 운영하는 내용의 식중독 관리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매년 도내 식중독 환자가 증가하고, 단체급식의 증가로 식중독 사고가 대형화·집단화 하는 데 따른 것이다. 도에 따르면 지난 2009년 47건 1,073명이던 도내 식중독 환자는 2010년 69건 2,694명으로 증가했고, 올해 5월 말 현재 23건 608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특히 2009년 도내 식중독 환자의 67.1%인 721명, 2010년에는 62.7%인 1,690명, 올해는 93%인 566명이 학생이어서 학교 등 급식 규모가 큰 곳에 대한 식중독 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도는 오는 7월부터 도내 대형급식소 100곳을 대상으로 ‘전문가 식품안전 진단서비스’를 도입한다.


이 서비스는 급식 규모가 크거나 급식 시설이 노후한 곳, 이미 식중독이 발생했던 도내 대형음식점 및 학교 등 집단 급식소를 대상으로, 외부 전문 컨설팅 업체를 통해 식재료의 구입에서 보관, 조리, 배식의 전 과정에서 식중독 발생인자를 모니터링한다.


진단 결과에 따라 시설, 도구, 환경, 종사자, 위생관리 등 업소의 수준에 맞게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식중독으로부터 안전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와 함께 타 업소의 모범이 될 ‘식품안전특구(Food Safe Zone)’과 경기안심식당을 지정, 운영한다.


식품안전특구는 식중독 등 식품안전사고 ‘제로화’를 목표로 운영되는 지역으로 보건복지부로부터 ‘음식문화 시범거리’로 지정된 도내 음식 밀집지역 17곳 중 음식 안전에 대한 기반이 다져진 6곳을 선정, 운영한다.


도는 이들 6곳 218개 식당에도 ‘식품진단 서비스’를 실시하고 요건을 충족한 식당을 ‘경기안심식당’으로 지정할 방침이다. 경기안심식당은 정기적인 위생교육을 비롯해 손소독제 등 각종 식중독 홍보물을 지원 받는다.


이밖에도 식중독이 증가하는 하절기를 대비해 오는 10월까지 시군, 교육청 등과 함께 식중독 예방대책반 55개를 운영하고, 7월부터는 주부 등으로 구성된 소비자식품감시원 700여명이 본격적인 감시활동에 돌입한다.


또 도내 식중독 발생 고위험군인 어린이집과 학교 집단급식소 3,569개소에 종사하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도는 식중독 관리 대책을 공유하기 위해 7월 8일 식약청, 교육청, 학계, 업계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식품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