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장암 표적항암제 바이오마커 발굴

서울아산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진천 교수팀은 대장암 표적항암제인 `세툭시맙'과 `바시쭈맙'을 대장암 환자에게 투여하기 전 치료에 성공할 수 있을지를 미리 알 수 있는 `바이오마커'(유전체표식자)를 발굴,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 `임상암연구'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바이오마커란 혈액 속에 들어 있는 DNA의 산물인 수십만 가지의 단백질 중 특정 질환과 관련된 단백질을 말한다.


   
표적항암제를 사용할 때 바이오마커의 발굴이 중요한 것은 표적항암제가 최고 1억원에 달할 정도로 고가인데다 항암제가 환자와 맞지 않아 치료에 실패할 경우 암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시간을 허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많은 후보 유전체 가운데 유용한 유전체를 찾는 게 암 관련 임상 분야의 최대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10여년간의 유전자 분석기술 발달에도 실제 암 환자에게 이용되는 바이오마커는 단 몇 가지에 불과하다.

 

김 교수팀은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이번에 발굴한 바이오마커가 있는 환자에게 항암제를 처방했을 때의 평균 생존기간이 바이오마커가 없는 환자에 비해 약 4개월 정도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바이오마커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이 과정을 거치게 되면 대장암 환자들이 바이오마커를 통해 표적항암제 치료를 받을 수 있을지 빨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