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백두대간내 전산관리시스템 최초 도입

각종 개발사업 위치, 훼손유형, 훼손면적 등 전산화해 관리

백두대간의 보존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전산관리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일, 백두대간의 훼손실태와 동 지역에서 시행되는 각종 개발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산시스템을 도입해 6월말부터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1,400㎞의 산줄기로서, 민족정기의 상징이자 한반도 생태계의 보고(寶庫)이다.

환경부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전성우박사팀)에 의뢰해 작년 11월부터 올 6월까지 실시한 백두대간에 대한 1차 년도 조사결과를 토대로 전산시스템을 구축했다.

백두대간 조사는 환경부가 지난 해 설정한 백두대간의 관리범위 전체지역(4,386㎢)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최신 인공위성 영상자료와 수치정보(토지피복지도, 토지이용현황도, 수치지형도 등)를 이용해 토지이용실태를 분석했다.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토대로 해 백두대간 관리범위내의 토지이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이 전체면적의 91.8%를 차지하며 농경지역이 6.2%, 주거지역 등 시가화지역이 0.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백두대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위치, 훼손유형, 훼손면적 등에 대한 정보를 전산화해 관리함으로써 백두대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시계열 변화추이 등을 분석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는 전산화 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한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아울러 "인공위성영상자료를 분석한 1차 년도 조사에 이어 2차 년도에는 훼손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해 영상자료분석으로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 훼손지역의 유형별 복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