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인삼의 핵심 성분인 '사포닌' 특성 분석을 통해 그동안 외형에 따라 분류했던 인삼 품종을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박준택) 생명과학연구부 최종순 박사 연구팀은 12일 국내 자생하는 5종의 인삼을 19개 재배지에서 채취해 사포닌 성분을 분석한 결과, 크게 3가지 형태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농촌진흥청과 충북대, 한국인삼공사가 공동으로 참여했으며, 연구결과는 '프로세스 바이오케미스트리'지 9월호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그동안 외형에 따라 인삼을 분류했기에 재배지의 토양과 온도, 광도 등 재배환경의 차이에 따른 변이 등을 명확히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최 교수는 "분석 결과 국내 재배 인삼은 3가지 종류의 뚜렷한 진세노사이드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며 "진세노사이드 패턴을 결정하는 화합물과 화합물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인삼 개체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합성경로가 다르고, 진세노사이드의 조성과 함량도 달라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국제적으로 처음 시도된 이번 인삼 사포닌 형태 분석연구를 통해 국내 인삼품종 분류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품종별 진세노사이드 합성유전자 연구, 재배환경별 품종분류, 고품질 인삼재배법 개발, 원산지 판별 등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내 재래종 인삼은 자경과 황숙, 청경 등으로 분류되며, 신품종으로는 천풍과 연풍 등이 육성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