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조리와 제조가공, 저장 중에 생성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 등 식품전반에 대한 독성평가 및 포장재 안전성 기준규격 정립 등 식품독성에 관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식품기업 등에 독성 전문가가 없고 ‘독성’ 명칭이 포함된 2년제, 4년제 학부대학이 없는 등 독성 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전문인력 양성 등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강표 소장은(CJ 식품연구소) 19일 예정된 국립독성과학원 주최의 독성과학포럼에서 최근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논란과 식품 중 트랜스지방 함량표시 등 매년 언론 및 소비자단체로부터 식품위해성 논란이 발생하고 있어 한국인에 대한 위해성 평가, 독성평가를 기초한 허용기준 설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그는 식품포장재에서 이행되는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 의심물질에 대한 독성평가 및 포장재 안전성 기준규격 정립과 BT, NT 등 신기술을 적용한 소재 및 식품의 안전성 평가체계 확보와 건강기능식품 제형 확대에 따른 안전성 DB가 필요함을 강조할 예정이다.
정진호 교수(서울대 약학대학)는 ‘국내 독성연구 현황 및 독성과학원의 미래 발전전략’ 발표를 통해 독성과 관련 자연대.약대.수의대.농생대.축산대 등 일부 대학원에서 전공하고 있을 뿐 현재 대학 내 독성연구 인프라가 상당히 부족하고, 기업의 경우 제약산업 등에 일부 독성 전문가가 있을 뿐 화학.화공.환경.BT 및 식품산업 등에 독성 전문가가 없음을 지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