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천시, 닭고기 사육서 유통까지 관리한다

위생관리 시스템 마련, 모든 단계 질병.위생점검

인천시(시장 유정복)가 시민들에게 안전한 닭고기를 공급하기 위해 농가에서의 닭 사육단계에서부터 유통·판매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질병 및 위생을 점검한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닭고기에 대한 질병 및 위생관리 시스템을 마련해 운영한다.


2015년도 농촌진흥청 수도권 소비자 의식조사 결과 일반 가구의 52.6%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닭고기를 먹고 있으며, 1인당 연간 닭고기 소비량이 12.45kg에 이를 만큼 닭고기는 대중적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육류 중 하나다.


소, 돼지 도축검사는 오래 전부터 정부 주도하에 시행돼 왔고 유통·판매되고 있는 소고기, 돼지고기에 대한 수거 검사 역시 철저히 이뤄지고 있다. 이에 반해, 닭 도축검사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 닭 도축장 공영화 실시를 위한 과도기 상태로 닭 도축검사에 대한 위생 점검과 더불어 유통·판매되는 닭고기에 대한 위생관리에 있어 체계적인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에서는 닭고기의 위생적인 공급을 위해 올해부터 닭 사육농가에서부터 유통·판매되는 닭고기까지 모든 단계에 질병 및 위생검사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마련했다.


우선, 농장 사육단계에서 인천 관내의 닭 농가를 무작위로 직접 방문해 채혈검사를 통해 가금류 가축전염병 6종(마이코플라즈마 2종, 전염성기관지염, 전염성F낭병, 산란저하증, 뉴캐슬병) 2,100여 건을 검사한다.


한편, 지난해부터 국가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닭 사육농가 7군데에 대해 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뉴캐슬병 등 8가지 질병에 대한 항체·항원 검사를 연 5회 수행해 사육단계에서 질병 발생 최소화 및 가금 농가의 생산성 향상 도모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도축단계에서는 올해부터 도축검사관이 닭 도축장(인천식품) 내에 상시 근무하면서 닭 도축검사를 철저히 수행하고 있다. 또한, 공영화된 닭 도축장 도축검사의 신뢰도 확보와 HACCP 작업장 내 위생적인 작업환경 유지를 위해 작업자와 내부 시설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수시로 점검한다. 검사대상은 작업장 내 작업자 개인 및 시설 위생관련 18건으로 지표세균수 및 3가지 식중독균(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캠필로박터균)에 대해 월별로 검사를 수행한다.


또한, 올해부터는 도축 출하 이후 식육판매장에 유통·판매되는 닭고기에 대해 미생물 오염도와 살모넬라와 캠필로박터 등 식중독균에 대한 수거 검사를 실시해 인천지역에서 유통되는 닭고기의 위생 상태를 파악해 안전한 닭고기 유통을 도모할 계획이다.


시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닭고기의 사육부터 유통·판매까지 모든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해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닭고기가 공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