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학부모 불안가중
정부가 올해를 ‘식중독 최소화의 해’로 정하고 학교급식 등에서의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올들어 5월 23일 현재 벌써 학교에서만 25건에 2천116명의 집단환자가 발생해 식중독 사고 ‘최대의 해’가 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이는 사상 최대의 식중독사고가 발생한 지난해(135건/환자7909명)의 5월말 현재 26건, 2천460명 환자발생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과거에 비해 식중독 원인균 검출율은 높아졌으나 오염경로 등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아 유사 식중독이 되풀이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정부당국도 대책수립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
정부당국에 따르면 올들어 발생한 학교에서의 식중독 사고 25건중 12건은 학교급식으로 인한 사고였으며 13건은 학교급식 외 수련원과 수학여행 등에서 발생한 위생사고로 밝혀졌다.
학교급식으로 인한 사고 중 직영급식 학교에서 6건, 위탁급식 학교에서 6건 등으로 유난히 위탁급식 학교에서 사고발생이 많았던 지난해와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정부는 이같은 학교 식중독 사고의 빈발 원인에 대해 일부 수입산 식재료를 국내산으로 둔갑시키거나 값싼 식재료를 유명회사 제품으로 위장 납품한 사례가 적발됐다고 지적하면서 원재료의 오염시 학교 조리과정에서 식중독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털어놓았다.
또 한정된 예산으로 기간내 ‘학교급식 확대’ 목표달성을 위해 급식시설을 최소한의 공간과 설비만 갖춘 경향이 많은데다가 위탁급식에 대한 지도, 감독이 소홀한 점도 원인으로 꼽았다.
정부는 25일 교육인적자원부 주재로 각 시도 교육청과 국무조정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학교 전염병 및 식중독 예방을 위한 대책회의를 가졌지만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는 못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올해는 수련장이나 여행지 등에서 사고가 많은 점을 주시하고 현지 사전답사를 철저히 실시해 모범업소만을 이용하는 한편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식품이나 음료수 등을 매식하지 않도록 학생에 대한 교육과 지도를 강화해 식중독 예방에 만전을 기할 것을 각 시도 교육청에 지시했다.
또 학교급식의 위생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교육청의 연2회 위생 및 안전점검 이외에 지역교육청 단위로 ‘학교급식 점검단’을 가동시켜 불시 확인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식중독 발생 원인제공자에 대해서는 엄중 문책하기로 하고 향후 학교급식법 개정시 식중독 유발 식재료납품업체나 위탁급식업체 등에 대한 벌칙조항을 신설하기로 했다.
김병조 편집국장/bjkim@fenews.co.kr